전체메뉴

검색
  • 중랑 묵동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대규모 복합개발 시동[집슐랭]
    중랑 묵동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대규모 복합개발 시동[집슐랭]
    정책·제도 2025.05.01 13:15:09
    서울 중랑구는 1일 묵동 먹골역 일대 '묵동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 내용을 고시했다고 밝혔다. 변경안은 지난해 12월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통과했으며, 기존 지구단위계획의 불합리한 부분을 개선하고 역세권 개발 여건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주요 내용은 묵2동 동일로변 일대 지구단위계획구역을 대폭 확대하는 것이다. 또 특별계획가능구역 5개소와 용도지역조정가능지 10개소를 신설해 민간 주도의 대규모 통합개발을 지원한다. 일반상업지역에서 보조 간선도로변 건축물의 높이 제한을 기존
  • 서울시, 집값 띄우기·편법 증여 등 부정 의심사례 70건 적발[집슐랭]
    서울시, 집값 띄우기·편법 증여 등 부정 의심사례 70건 적발[집슐랭]
    정책·제도 2025.05.01 11:15:00
    서울에서 집값 띄우기, 편법 증여 등 부정 행위 의심사례 70건이 적발됐다. 서울시는 지난 3월부터 국토교통부·자치구와 함께 합동 점검반을 편성하고 중개사무소 225곳을 현장 점검한 결과 70건의 의심거래를 발견했다고 1일 밝혔다. 차입금 과다 28건, 편법증여 11건, 허위신고 1건, 기타 30건 등이다. 부모와 자녀가 시세보다 30% 낮게 아파트를 매매하면서 불필요한 중개 거래로 중개보수를 지급하는 등 이상저가(편법증여) 사례가 적발됐다. 무등록 중개인이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확인되지 않은 시세정보를 제공하고, 특
  • 대우건설, 2025 전사 헌혈캠페인 실시
    대우건설, 2025 전사 헌혈캠페인 실시
    정책·제도 2025.05.01 11:09:42
    대우건설은 본사와 현장 임직원이 참여하는 ‘2025 대우건설 헌혈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1일 밝혔다. 대우건설 임직원은 지난달 24일 을지로 본사 앞 헌혈버스를 방문해 직접 참여했다. 헌혈버스 방문이 어려운 임직원은 15일부터 24일까지 보유 중인 헌혈증 기부를 통해 캠페인에 참여했다. 대우건설은 2006년부터 20년째 헌혈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 '평당 6억' 육박…22년째 가장 비싼 국내 땅 '이곳'이라는데
    '평당 6억' 육박…22년째 가장 비싼 국내 땅 '이곳'이라는데
    정책·제도 2025.05.01 07:57:00
    서울 명동 한복판에 위치한 네이처리퍼블릭 판매점이 22년 연속 국내 땅값 1위를 기록했다. 서울시는 올해 1월 1일을 기준으로 조사한 86만 1300필지의 개별공시지가를 30일 결정·공시했다. 개별공시지가는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산정된 개별 토지의 단위 면적당 적정 가격이다. 올해 서울 개별공시지가 상승률은 4.02%로 지난해(1.33% 상승)에 이어 2년 연속 올랐다. 25개 모든 자치구 공시지가가 상승했다. 평균 변동률 이상으로 상승한 곳은 강남구(5.47%), 용산구(5.21%), 성동구(4.82%), 서초구(
  • 하남교산 분양가 올랐는데도…사전청약 당첨자 84%가 본청약
    하남교산 분양가 올랐는데도…사전청약 당첨자 84%가 본청약
    정책·제도 2025.05.01 07:05:00
    3기 신도시인 경기 하남시 하남교산 공공택지지구의 첫 분양 단지에 사전청약 당첨자 중 84%가 본청약을 신청했다. 분양가가 2021년 사전청약 때보다 8500만 원 가까이 올랐지만 여전히 시세 대비 저렴하다는 평가에 높은 본청약률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30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전날부터 이날까지 교산 푸르지오 더 퍼스트(하남교산 A2블록) 본청약을 진행한 결과, 사전청약 당첨자 866명 중 84%인 728명이 신청했다. 앞서 인천계양 A2블록에서는 사전청약 당첨자 중 55%가, 고양창릉 A4, S5, S6블록에서는
  • '서울 옆세권' 의왕도, '미분양 늪' 울산도…청약시장 훈풍
    '서울 옆세권' 의왕도, '미분양 늪' 울산도…청약시장 훈풍
    정책·제도 2025.05.01 07:00:00
    경기도 의왕시와 울산광역시에서 각각 공급되는 제일풍경채 의왕고천과 태화강 에피트가 1순위 청약에서 흥행을 거두며 전 타입 마감됐다. 지방 부동산 시장이 악화하고 있지만 분양가 상한제 적용으로 합리적인 가격이 장점으로 부각되며 청약시장에 훈풍을 일으킨 것으로 평가된다. 30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제일풍경채 의왕고천은 29일 진행된 1순위 청약접수 결과 165가구 모집에 총 3560건의 청약접수가 몰려 평균 21.6대 1의 경쟁률로 전 가구 1순위 마감했다. 특히 전용 84㎡A는 최고 경쟁률인 22.3대 1을 기록했다. 분양
  • 전세사기 피해자 874명 추가 인정…피해 주택 472호 매입
    전세사기 피해자 874명 추가 인정…피해 주택 472호 매입
    정책·제도 2025.05.01 06:00:00
    전세사기 특별법의 시행 기간이 연장될 예정인 가운데 특별법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피해자 874명이 추가로 인정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전세사기 피해지원위원회’ 회의를 세 차례 열고 피해자 결정 신청 1905건 중 874건을 가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 중 신규 신청은 764건이고, 앞선 심의에서 피해자로 인정받지 못해 이의신청을 낸 이들 중 110건은 피해자 요건 충족 사실이 확인돼 피해자로 인정됐다. 피해자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552건은 부결됐고, 보증금 전액을 돌려받을 수 있는 201건은 피해 인정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로
  • LH 지방 미분양 매입에 58개 업체가 3536가구 접수…부산이 최다
    LH 지방 미분양 매입에 58개 업체가 3536가구 접수…부산이 최다
    정책·제도 2025.04.30 20:48:20
    15년 만에 실시되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지방 미분양 아파트 매입 사업에 총 3536가구의 매입 신청이 접수됐다. 정부 목표치인 3000호를 웃도는 규모다. LH는 4월 1일부터 한 달간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에 대해 매입 신청을 받은 결과 총 58개 건설 업체가 3536호 주택을 접수했다고 30일 밝혔다. ‘악성 미분양’이라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가 약 1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자 정부는 2월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를 3000호 사들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가 미분양 주택 매입 카드를 꺼내든 것은 2
  • "8500만원 올라도 싸"…하남교산 사전청약자 중 84%가 본청약
    "8500만원 올라도 싸"…하남교산 사전청약자 중 84%가 본청약
    정책·제도 2025.04.30 18:42:16
    3기 신도시인 경기 하남시 하남교산 공공택지지구의 첫 분양 단지에 사전청약 당첨자 중 84%가 본청약을 신청했다. 분양가가 2021년 사전청약 때보다 8500만 원 가까이 올랐지만 여전히 시세 대비 저렴하다는 평가에 높은 본청약률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30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전날부터 이날까지 교산 푸르지오 더 퍼스트(하남교산 A2블록) 본청약을 진행한 결과, 사전청약 당첨자 866명 중 84%인 728명이 신청했다. 앞서 인천계양 A2블록에서는 사전청약 당첨자 중 55%가, 고양창릉 A4, S5, S6블록에서는
  • LH, 부천 대장 신도시에 '대한항공 R&D센터' 유치
    LH, 부천 대장 신도시에 '대한항공 R&D센터' 유치
    정책·제도 2025.04.30 16:33:01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3기 신도시 부천 대장지구에 대한항공 기술개발(R&D)센터를 유치했다. LH는 30일 경기도 부천아트센터에서 대한항공, 경기도, 부천시와 ‘대한항공 도심항공교통(UAM)&항공 안전(Aviation Safety) R&D센터' 투자 및 입주를 위한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대한항공 R&D 센터는 미래 무인기, UAM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R&D 연구시설로, 부천대장 제 2도시첨단산업단지에 약 6만 6000㎡ 부지 규모로 건립된다. 연구 인력을 포함한 1000여 명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되며, 총사업비는
  • 반도건설, 협력사와 신기술공법 개발
    반도건설, 협력사와 신기술공법 개발
    정책·제도 2025.04.30 15:56:13
    반도건설이 제2회 반도기술공모전 수상 기업과 함께 시상식을 진행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로 2회째 진행한 반도기술공모전은 반도건설이 지난 2023년 우수한 기술력을 가졌음에도 기술 개발 자본 및 여건 마련이 어려운 중소기업과의 상생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시작됐다. 참여 기업은 시공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중소기업으로 이번 공모전에서는 스마트건설, 스마트안전 등 분야에서 수상한 10개사가 참여했다. 이번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수여한 광림센서텍의 ‘스마트 수위 지시 조절계’는 향후 기술 개발을 지속해 반도건설과의 공동 특허 출원을 진행할
  • 의왕·울산 1순위 청약 마감…지방 부동산 시장에 훈풍
    의왕·울산 1순위 청약 마감…지방 부동산 시장에 훈풍
    정책·제도 2025.04.30 15:35:28
    경기도 의왕시와 울산광역시에서 각각 공급되는 제일풍경채 의왕고천과 태화강 에피트가 1순위 청약에서 흥행을 거두며 전 타입 마감됐다. 지방 부동산 시장이 악화하고 있지만 분양가 상한제 적용으로 합리적인 가격이 장점으로 부각되며 청약시장에 훈풍을 일으킨 것으로 평가된다. 30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제일풍경채 의왕고천은 29일 진행된 1순위 청약접수 결과 165가구 모집에 총 3560건의 청약접수가 몰려 평균 21.6대 1의 경쟁률로 전 가구 1순위 마감했다. 특히 전용 84㎡A는 최고 경쟁률인 22.3대 1을 기록했다. 분양
  • SK에어플러스, CDP 한국위원회 탄소경영 우수 기업 선정
    SK에어플러스, CDP 한국위원회 탄소경영 우수 기업 선정
    정책·제도 2025.04.30 14:57:15
    SK에코플랜트 산업용 가스 자회사 SK에어플러스가 글로벌 기업 기후변화대응 평가기구로부터 탄소경영 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 SK에어플러스는 30일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Carbon Disclosure Project) 한국위원회가 주관하는 ‘2024년 기후변화 대응 및 물 경영 우수기업’ 시상식에서 ‘탄소경영 특별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CDP는 국제 비영리 환경기구로 각국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환경 관련 경영정보를 분석해 매년 보고서를 발행한다. 전 세계 1만 5000개가 넘는 글로벌 기업들의 탄소경영 수준을 평가하며 세계
  • 국토부, 11시간 지연 사태 티웨이항공 제재키로
    국토부, 11시간 지연 사태 티웨이항공 제재키로
    정책·제도 2025.04.30 14:53:15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일본 오사카 노선 여객기 11시간 출발 지연 사태를 빚은 티웨이항공에 대해 '항공안전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해 제재하기로 했다. 30일 국토부에 따르면 최근 티웨이항공에 대한 행정처분 심의위원회를 열었다. 국토부는 티웨이항공이 정비·운항 규정을 어기는 등 항공안전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해 제재하기로 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부는 다음 달 1일까지 티웨이항공 이의제기 내용 등을 받은 뒤 제재 수위를 확정할 전망이다. 제재 수위에 따라 과징금 처분이 내려질 가능성도 있다. 앞서 티웨이항공은
  • SH공사, 제47차 장기전세주택 527세대 모집[집슐랭]
    SH공사, 제47차 장기전세주택 527세대 모집[집슐랭]
    정책·제도 2025.04.30 14:23:19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제47차 장기전세주택 입주자를 모집한다고 30일 밝혔다. 장기전세주택은 무주택 서울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주변시세의 80퍼센트 이하 전세보증금으로 공급되는 공공임대주택으로 분양전환 되지 않는다. 신규 공급은 동대문구 이문아이파크자이와 중랑구 리버센 SK뷰 롯데캐슬, 재공급은 상암2지구·천왕지구 등 52개 단지(지구)를 포함한 총 54개 단지(지구)에서 진행된다. 신규 공급 대상은 동대문구 이문 아이파크 자이(41·59㎡) 213세대, 중랑구 리버센 SK뷰 롯데캐슬(49&middo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