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유니콘의 시대] 유니콘 CEO 인터뷰

The Age of Unicorns


▶ 10억 달러 이상의 가치평가가 당신과 회사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1. 하우즈 / 아디 타타코 Adi Tatarko,CEO

인정받는 건 좋은 일이지만, 그렇다고 우리의 일상업무가 바뀌는 건아니다. 여전히 할 일은 많다. 아찔한 롤러코스터를 타는 느낌이다.

2. 크레딧 카르마 / 켄 린 Ken Lin,CEO

10억 달러라는 가치평가는 양날의 검과 같다. 채용, 브랜드 인지도, 직원의사기 측면에선 멋진 일이다. 하지만 가치평가가 높아지면 종종 외부로부터 면밀한 조사를 받기도 한다.

3. 앱넥서스 / 브라이언 오켈리 Brian O’Kelley, CEO

마라톤에서 전반에 좋은 출발을 한 것과 마찬가지다.뒤처진 것보단 낫지만, 이제 모든 이의 표적이 된다.

4. 앱다이내믹스 / 조티 반살 Jyoti Bansal, CEO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음을 의미한다. 아직 챔피언이 된 건 아니지만, 승리가 눈앞에 보이는 것이다. 이런 상황이 되면 사람들은 실수를 저지를 수 있다. 자축하느라 여전히 크고 중요한 경기가 남아있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곤 한다.

5. 액티피오 / 애시 애슈토시 Ash Ashutosh, CEO

물 위에 떠 있는 오리에 비유할 수 있다. 부드럽고 평온해 보이지만, 물 밑에선 미친 듯이 물장구를 치고 있다. 좀 더 평온해 보이려면 훨씬 더 열심히 물장구를 쳐야만 한다.

6. 포와 / 댄 바그너 Dan Wagner, CEO

스스로에 대한 과장 자체를 믿기 시작하면 혼란에 빠진다. 내가 아는 한, 시작할 때 목표로 삼았던 가치 를입증하기 전까지 사업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투자유치란 우리가 올바른 방향을 잡았다는 점을 보여줄 뿐이다.

유니콘의 왕

샤오미 CEO , 레이 쥔 Lei Jun

샤오미는 중국에서 가장 덩치가 큰 유니콘이다. 베이징에 본사를 둔스마트폰 제조업체 샤오미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면, 마음의 준비를 하는 것이 좋다. 샤오미의 가파른 상승세를 봤을 때, 이 업체가 알리바바Alibaba 상장 이후 가장 크게 성장하는 중국 거물 업체가 될 가능성은 충분하다.

중국 내에서 샤오미의 저가폰(홍미 2의 가격은 115달러다)은 애플 제품보다 인기가 좋다. 하지만 샤오미의 설립자이자 CEO인 레이 쥔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있다. 공기정화기에서 인터넷 TV박스에 이르기까지 사업을 확장해 샤오미 제품의 생태계를 창조하려 시도하고 있다. 그는 460억 달러 가치평가를 받은 시점에서 투자를 유치했다. 2009년 페이스북에 투자한 바 있는 러시아 벤처투자자 유리 밀너Y uriMilner는 샤오미를 “앞으로 1,000억 달러 규모가 될 기업”이라 부르며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중국에는 가치평가 10억 달러를 상회하는 인상적인 신생업체가 많다. 디엔핑 Dianping은 옐프 Yelp와 그루폰 Groupon을 융합한 서비스로 월간 실사용자 1억 9,000만 명을 끌어들이고 있다. 모구지예 Mogujie는 핀터레스트를 그대로 따라한 서비스로 중국 패셔니스타들의 사랑을 한몸에 받고 있다. 커우다이 쇼핑은 온라인 쇼핑몰과 중국 내 최고인기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위챗 WeChat을 연결해준다. 2012년 2,000억 달러에 불과했던 중국의 온라인 소매업 규모는 올해 5,0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여러 유니콘들이 풀을 뜯어 먹으며 성장할 수 있는 거대한 인큐베이터와 같은 곳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