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위원장은 19일 기자들과 만나 "금융감독원뿐 아니라 금융회사 전체가 인사에 너무 민감한 것 같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새 정부 출범과 맞물려 회장이 교체된 주요 금융지주사와 은행을 비롯해 금융당국의 임원급 인사를 앞두고 각종 줄대기와 세몰이가 일어나는 상황을 비판한 것이다. 금융권 각 조직 내부에는 특정인을 밀어주고 외부로는 현정권 실세와의 인연을 강조하는 행태가 공공연히 벌어지고 있다. 한달 전 내정 당시 신 위원장 본인이 이 같은 인사 과열경쟁을 예견하고 "관치가 없으면 정치, 정치가 없으면 호가호위하는 사람들의 내치"라고 경고했지만 그대로인 현실을 재차 꼬집은 셈이다.
신 위원장은 "금융이 국민한테 빚을 많이 졌다"면서 "공적자금 168조원을 들여 살렸으면 금융에 대해 자기나 조직(을 먼저) 생각하는 것보다는…"이라고 금융권의 이기주의를 꼬집었다.
그는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조건으로 '민영화 소신'을 강조했다. 신 위원장은 "제일 중요시하는 것은 민영화를 빨리 해야 한다는 철학"이라며 "제일 두려워하는 것은 어떤 분이 회장에 계시든 안주하는 게 생길 수밖에 없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 방대한 조직을 나 때(회장 임기) 안 팔고 엔조이하고 갈 수 있다는 욕구가 생길 것"이라면서 "민영화 철학이 확실히 있지 않으면 제 입장에서는 상당히 버겁다"고 토로했다.
신 위원장은 우리금융 조기 민영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내보였다. 그는 "(위원장으로서) 제일 비장한 각오는 우리금융 민영화다. 정권 초기에 해야지 후반기로 갈수록 추진동력이 떨어진다"면서 "직을 걸고 하겠다"고 밝혔다.
민영화 방식에 대해서는 "시장에서 원하는 것을 내놓아야 하니까 잠재적 수요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하겠다"면서 "국회 정무위원회 답변 중 메가뱅크(금융지주사 간 합병으로 초대형 금융회사 설립)를 선호하는 것처럼 나왔는데 이는 하나의 대안에 불과하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세부적으로 가지를 치면 분리ㆍ일괄ㆍ과점주주 방식 등으로 조합이 여러 개 나온다"면서 "일괄매각과 분할매각을 대립개념으로 보는데 일괄한 뒤 매입자가 분할하거나 우리가 나서서 분할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일괄 매각해 지주회사로 가면 규모가 커지면서 제약이 많기 때문에 여러 가지 생각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