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감한 기술금융에 대해 인센티브를 줘 대기업과 담보 위주의 대출을 기술금융 위주로 전환하겠다는 취지다. 기술금융 대출에 적극적인 임직원에게 더 많은 성과가 돌아가도록 보수운용 체계를 차등화하고 기술금융 여신이 부실화되더라도 은행 여신담당자에게 책임을 묻지 않거나 낮추는 것 등이 해당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 위원장은 7일 서울 여의도 정책금융공사에서 열린 기술금융 현장간담회에 참석해 "은행별 기술금융 공급실적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의 기술금융 활성화 정책에 따라 18개 국내 은행들은 기술신용보증기금·정책금융공사 등과 함께 '기술금융 활성화를 위한 기술신용정보 활용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난 7월부터 업무를 시작했다.
은행이 기보의 보증을 받은 기업에 대출을 하거나 정책금융공사의 온렌딩(간접대출)을 이용할 경우 의무적으로 기술신용정보를 활용해야 하고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은 1,000억원의 기술신용정보 기반 신용대출 상품을 출시했다. 신 위원장은 이날 "향후 3년 내에 기술금융이 뿌리를 내리도록 추진할 것"이라며 "1995년 신용정보법 제정을 통해 신용조회사를 설립한 후 신용대출이 본격화되기까지 3년 정도 걸린 사례를 시금석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이어 "기술신용평가기관(TCB)과 기술정보데이터베이스(TDB) 출범 이후 금융기관에는 새 바람이 불고 있다"며 "TCB·TDB는 지식재산뿐만 아니라 기업 노하우까지 포함한 전반적 기술력을 다루는 등 세계 최초로 시행된 획기적인 기술평가 시스템"이라고 강조했다.
TCB·TDB를 통해 7월 한 달간 550개 기술기업에 대한 평가가 이뤄졌으며 하반기에는 총 5,800개 기업에 대한 기술평가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