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2012 상반기 베스트 히트상품] 멀티기능에 감성까지 담았다



매일 수많은 상품들이 쏟아진다. 이 무한경쟁의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요구를 적절히 파악하고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 제품만이 '베스트히트상품'으로 생존한다.

베스트히트상품의 특징은 '멀티태스킹'. 얇고 가벼우며 가지고 다니기에 편리한 제품, 한가지 기능이 아닌 다목적ㆍ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단순히 기능성을 넘어 매력적인 '감성'까지 확보해야만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는다는 냉혹한 현실이다.

서울경제가'2012 상반기 베스트히트상품'으로 선정한 브랜드들은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부족함이 없다고 평가받는다.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인해 세계 각국에서 저렴한 가격의 제품들이 국내 시장에 쏟아져 들어오는 시장환경에서도 굳건히 베스트히트 상품의 영예를 안은데에는 남다른 '안목'과 '기능'이 깐깐한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이 톡톡한 역할을 해냈다.

올해 베스트히트 상품들은 새로운 컨셉트의 신상품에서 리뉴얼 상품까지 다양한 제품들로 구성됐다. 하나하나 제품들 모두 차별화된 경쟁력을 앞세워 소비자의 인기를 끌어내는데 성공했다. 기업들도 고매출 히트상품을 만들기 위해 마케팅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세계최대 정보기술(IT)기업인 애플의 유일한 대항마로 우뚝선 삼성전자는 스마트기능을 한껏 담은 제품을 내놓았다. 삼성전자의 스마트 모니터 'TB750'은 세련된 디자인과 다양한 부가기능을 앞세웠다. 디지털TV 수신 기능은 기본이고 모바일 고화질 연결(MHL), 와이다이(Wi-Di), 스마트 허브 등 다양한 편의기능을 갖췄다.

세계 최초 와이파이 내장 미러리스 카메라인 'NX20'은 삼성의 30년 광학 기술을 집대성 했다. 크기와 무게는 대폭 줄이면서도 2,030만화소 고화질 이미지센서와 슈퍼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갖춰 동급 최고 성능을 자랑한다. 언제 어디서나 촬영한 사진과 동영상을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등 경쟁업체보다 한발 앞선 기술력을 자랑한다.



현대자동차의 신형 싼타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제어 기능을 구현했다.'블루링크' 기능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을 통해 시동을 걸고 차내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등'스마트카 시대'를 열었다.

기아자동차의 'K9'은 세계적인 명차들과 경쟁하기 위해 내놓은 대형 럭셔리 후륜구동 세단이다. 기아차가 그동안 검증된 디자인 역량을 집중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집약해 만든 차량으로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K9은 '고객에게 최고의 품격과 가치를 제공하는 최첨단 럭셔리 대형세단'을 컨셉트로 개발돼 글로벌 시장의 명품 자동차 메이커가 되기 위한 기아차의 강력한 의지를 표현했다.

라면시장 전통의 강호 농심은 지난해말 불어닥친 하얀국물라면의 반란을 잠재우기 위해 제2의 신라면인'진짜진짜'를 출시하면 반격에 성공했다. 출시 한달을 전후해 라면시장 판매량 5위안에 들면서 신라면을 잇는 '초대박상품'을 예고하고 있다. 식품업계 관계자들은"100여 종의 라면 브랜드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출시 한달을 전후해 판매랭킹 톱5에 진입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평가했다.

커피시장의 절대강자인 동서식품은 후발업체들의 강력한 도전을 막기 위해 전략제품을 내놓는 맞불작전을 벌였다. 동서식품이 지난해 10월 출시한 '카누(KANU)'는 물에 타기만 하면 바로 원두커피의 신선한 맛과 향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인스턴트 원두커피'로 하루 평균 판매량이 51만개에 이른다.

금융상품들도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한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장점들만 한데 모은 '하이브리드형'상품도 속속 출시되면서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넓히고 있다. 최적의 투자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최상의 수익을 안겨다주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주5일제 근무와 연휴가 이어지면서 여행ㆍ호텔 사업체들은 '맞춤형'상품을 개발해 적극대응하고 있다. 이에 힘입어 골든위크, 노동절 연휴로 중국, 일본 관광객들의 국내 방문이늘어나는데 일조했다. 업계에서는 30만~40만명이 한국을 찾아 단기기간내에 가장 많은 관광객이 온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