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증권사ㆍ보험사ㆍ국민연금 등이 해외채권을 사들이면서 은행과의 자산 스와프 거래가 늘어나 선물환포지션이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고 27일 밝혔다. 비은행 금융사들이 저금리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투자수익이 높은 해외채권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면서 환율 리스크를 헤지하려는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앞서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은 선물환포지션이 급등한 하나은행, 호주뉴질랜드은행(ANZ) 한국지점, 프랑스 소시에테제네랄(SC) 한국지점 등에 대한 외환공동검사를 실시했다. 이들 은행은 올 들어 선물환포지션이 2배 가까이 늘어나는 등 이상 급등세를 보였다.
이러한 검사 결과에 비춰보면 선물환포지션을 축소해도 실물경제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회사들도 몇 곳을 제외한 대부분이 이번에 축소된 한도보다 훨씬 낮은 수준의 선물환포지션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비은행권의 스와프 거래는 다소 위축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선물환포지션 축소는 과도한 외환 유출입을 선제적으로 줄이기 위한 조치"라며 "기업들의 환헤지 수요가 그다지 많지 않기 때문에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하지만 해외채권 등에 투자하는 자산운용사 등 금융회사들의 스와프 거래에는 어느 정도 충격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은은 이날 외국은행 국내지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금융당국이 추진하고 있는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국내은행(D-SIB) 규제에 해외은행 국내지점도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종한 한은 거시건전성분석국 과장은 'D-SIB규제 관련 국제적 논의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대부분의 금융위기는 외환 부문에서 비롯됐기 때문에 외환 부문의 시스템적 리스크를 반영해야 한다"며 "D-SIB규제 대상에 외국은행 국내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검토하는 한편 본국 당국과 협력절차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감독을 강화하거나 최종적으로는 추가 자본을 확충하는 식의 규제방안도 심층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