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약정제, 3G 시장에 직격탄 '최소 1년간 한 이통사 이용' 부담… 지난달 신규 가입자 26% 급감보조금 축소도 큰 영향… 2G 이탈은 거의 없어 송영규 기자 skong@sed.co.kr 지난달 도입된 의무약정제도가 3세대(3G) 이동통신 가입자수를 20% 넘게 끌어내리며 직격탄을 날렸다. 반면 전체 신규 가입자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2G 가입자의 이탈은 거의 이뤄지지 않아 앞으로 시장 향배가 주목된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의 지난달 3G 순증 가입자수는 47만2,080명으로 전월에 비해 26.2%나 감소했다. SK텔레콤의 3G 순증가입자수가 감소한 것은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이며 증가 규모가 40만명대에 그친 것도 올 1월 이후 석 달 만이다. KTF의 지난달 3G 순증 가입자수 역시 전월에 비해 26.7%가 줄어든 44만6,764명에 그쳤다. 이 역시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 감소한 것이다. 3G 가입자수가 줄어든 것은 보조금 규제 폐지와 4월 의무약정제 도입의 영향이 가장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 가입자들이 최소 1년 이상 한 이통사 서비스만을 이용해야 하는 의무약정에 부담을 느낄 뿐만 아니라 이통사간 마케팅 경쟁이 진정세를 보이면서 보조금이 줄어든 것도 가입자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눈 여겨 볼 대목은 3G 순증 가입자 감소폭이 신규 가입자 보다 컸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지난달 SK텔레콤과 KTF의 신규 가입자수는 73만2,030명과 62만7,250명으로 전월에 비해 각각 21.3%, 24.0% 줄었다. 3G 순증 가입자 감소폭에 비해 2~5% 포인트 낮은 것이다. 다시 말해 의무약정제의 영향이 2G보다 3G 시장에 집중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신규 가입자의 감소 규모와 3G 감소 규모가 거의 비슷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의무약정제로 인한 2G 가입자의 이탈은 거의 없었다는 것으로 해석해도 무방하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이처럼 의무약정제가 3G에 직접적인 타격을 준 것은 시장 자체가 보조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3G 가입자가 단기간에 급속히 증가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이통사들의 보조금 확대로 인해 단말기 가격이 쌌기 때문이다. 특히 2G와 3G 보조금의 차별은 3G 가입자 증가의 일등 공신이었다. 하지만 의무약정제가 도입되면서 ‘굴레’를 꺼려하는 고객의 속성과 보조금 축소가 맞물리면서 3G 시장 위축으로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3G 시장의 단말기에 대한 의존도가 2G에 비해 높다”라며 “속단하기는 힘들지만 의무약정제로 3G 상승속도에 약간 제동이 걸릴 수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