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식품가격 인상 봇물이 터지고 있다.
그동안 식품업체들은 국제 곡물가격 급등으로 원자재 가격이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악화를 감수하면서 최대한 가격인상을 자제했다. 물론 정부의 다각적인 가격인상 자제(?) 요청과 대형 유통업체의 압박도 가격인상 현실화를 어렵게 만든 요인 중 하나였다.
식품 가격 인상추세는 다음달 말로 다가온 추석을 앞두고 한층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정부의 임기가 막바지로 치달으면서 물가관리가 예전보다 쉽지 않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공정거래위원회, 국세청 등 정부 부처는 과징금, 벌금을 광범위하게 매기면서 가격인상을 억제하는데 주력했지만 결국 이는 자충수로 돌아올 것으로 전망된다.
일반적으로 영업이익률이 5% 전후였던 식품업체들은 원자재 가격상승에 과징금, 벌금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간신히 적자를 면하는 수준까지 경영이 악화일로를 겪고 있다. 경영압박이 갈 데까지 간 업체들은 결국 정부에 미운 털이 박힐 것이라는 위험부담을 떠안으면서도 식품가격 현실화라는 카드를 던지고 있는 셈이다. 몇몇 업체들의 가격인상 단행은 정부의 인상 억제 압력이 완화됐다는 신호로 읽히면서 업계 전반에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식품가격 상승이 단기간에 그칠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는데 있다. 한 식품업계 대표는 "중국의 육류ㆍ어류 소비 급증에다 바이오연료 이용으로 곡물 수요처가 다양해지면서 식품 원자재 가격상승은 이제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면서 "식품 소비패턴도 이제 과거처럼 흥청망청할 수 있는 시대는 저물고 있다"고 내다봤다.
가뜩이나 국내 식량자급률이 낮은 근본적인 사정을 고려한다면 혁명적인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식품업체들은 고부가ㆍ고기능 식품 개발에 앞장서고 정부는 이를 지원해 한국식품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 소비자들도 식품을 싼값에 대량으로 사들여 냉장고에 쟁여두는 소비형태에서 벗어나 꼭 필요하고 가격대비 효용성이 높은 제품을 영리하게 골라내는 '스마트 소비'가 요구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