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6일 이 같은 내용의 2011~2012년 산업연관표 작성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2012년 우리나라의 재화 및 서비스 총공급은 4,215조4,000억원으로 전년보다 2.9%, 2010년보다는 15.8% 증가했다. 이 가운데 수출과 수입을 합한 대외 거래의 비중은 36.2%를 차지했다. 대외 거래 비중은 2010년 33.6%, 2011년 36.1%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국의 경제활동에서 갈수록 대외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얘기다. 수출 비중이 꾸준히 상승하고 수입 비중 역시 기조적으로는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제조업 비중은 50.4%로 전년도 51.0%보다는 0.6%포인트 낮아졌지만 2010년 49.0%보다는 높아졌다. 같은 기간 서비스업은 반대 추이(40.3%→38.9%→39.4%)를 보였다. 공장 자동화 등의 영향을 받는 취업유발계수는 전산업 평균으로 2010년 13.9명에서 2011년 13.4명, 2012년 13.2명으로 하락세를 거듭했다. 취업유발계수란 10억원의 재화나 서비스가 만들어질 때 직간접으로 창출되는 일자리를 말한다. 2012년 품목군별 취업유발계수는 서비스 18.0명, 건설 14.6명, 공산품 8.5명 순이었다. 투자는 최종 수요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하락해 투자 부진 현상을 반영했다. 이에 비해 총수요 대비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상승했고 소비 비중은 사회복지 지출의 확대 등 영향으로 하락했다가 다소 높아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