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전 금융권에서는 금감원 기획검사국 행보에 대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10일 금감원에 따르면 기획검사국은 최근 청해진 해운 검사에 파견된 현장 검사역들을 모두 철수시키고 이들을 다시 금융권 현장에 투입해 기동 검사를 확대하고 있다. 기획검사국은 지난 4월 최수현 금감원장이 조직개편을 통해 신설한 현장 중심의 기동 검사 조직으로 '금융 중수부'로 불려왔다.
금감원 기획검사국의 행보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시중은행 영업점들에 대한 불시 점검이다.
기획검사국은 지난달 말부터 국민·신한·농협·우리·하나·기업은행 등 6개 주요 시중은행에 대한 불시 점검을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는 주로 본점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기존의 금감원 종합검사나 상품 판매 위법 부분을 들여다보는 미스터리 쇼핑과는 전혀 다른 방식이다. 각 은행별로 몇 개 지점을 무작위로 골라 검사인력을 파견하고 내부통제나 고객정보 관리 부분을 예고 없이 점검하는 것이다.
은행 직원들이 멋대로 고객의 통장을 관리하지는 않는지, 퇴근 시 영업점의 보안조치는 제대로 이뤄지는지 등이 모두 검사대상이다. 기획검사국은 특히 은행들이 구축해놓은 내부통제 시스템이 실질적으로 영업점에서 제대로 구현되고 있는지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금감원 기획검사국의 한 관계자는 "각 은행들이 시스템이야 잘 갖춰놓았지만 실제 현장에 나가보니 여전히 예전의 편법적인 행태들이 되풀이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며 "금융사고의 사전 예방이라는 기획검사국 설립 취지에 맞게 각종 금융사고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은 금융회사 영업점에 대한 검사를 강화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사실상 전 인력이 투입됐던 세월호 사건이 거의 마무리된 만큼 기획검사국은 하반기에도 '금융의 기초질서 확립'이라는 테마로 각종 검사를 확대할 계획이다.
일단 은행 영업점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불시 점검이 보험 증권 등 다른 영역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기획검사국은 이번에도 전 업권을 대상으로 불시 점검을 실시하려 했지만 인력 문제 등이 있어 은행권에 우선 초점을 맞춘 것으로 알려졌다.
기획검사국은 이 밖에도 산하 금융정보분석실의 리스크 요인 분석에 따라 취약점이 있는 금융회사나 업권에 사전적으로 검사 인력을 투입해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는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세월호 사건과 같은 큰 사건이 있다면 당연히 다시 기획검사국이 투입되겠지만 중점적인 업무는 금융 기초질서 확립을 위한 검사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획검사국 주도하에 실시된 청해진 해운 관련 금융검사에는 총 174명의 검사역들이 투입됐으며 금융권 여신 운용 등에서 상당한 문제점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청해진 해운 등에 대한 금융회사 여신은 관계사 3,443억원, 관계인 424억원 등 총 3,867억원에 달한다. 금감원은 2~3개월 후 위법 사항들을 제재심의위원회에 올려 관련 금융회사들을 징계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