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 규모가 50억~500억원으로 비교적 규모가 큰 중소기업 가운데 77곳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36곳이 퇴출 대상으로 결정됐다. 또 오는 9월 말까지 여신 규모 30억원 이상인 1만여개 중소기업에 대해 옥석 가리기 작업이 실시된다. 이에 따라 대기업에 이어 중소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칼바람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은 15일 은행들이 여신 규모 50억원 이상~500억원 미만의 중소기업 861개를 대상으로 1차 신용위험 세부평가를 실시한 결과 13.1%인 113곳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C등급(부실징후기업)을 받은 77곳은 신속히 워크아웃에 들어가게 된다. D등급(부실기업)을 받은 36곳의 경우 자금지원을 중단해 법정관리 신청 등 퇴출 절차를 밟게 된다. 최근 채권은행들이 C등급 업체에 대해 주채권은행이 단독으로 워크아웃을 추진할 수 있고 이때 다른 은행이 해당 기업의 여신을 회수하지 못하도록 자율협약을 개정했기 때문에 주채권은행이 주도하는 구조조정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번 CㆍD 등급 기업에 대한 은행권의 여신 규모는 1조6,000억원으로 구조조정 과정에서 은행이 손실을 대비해 쌓아야 하는 충당금은 2,800억원 정도로 추정됐다. 이번 평가에 이어 11월까지 중소기업에 대해 두 차례에 걸쳐 추가적인 신용위험평가가 실시된다. 우선 채권단은 이달 말까지 여신 30억원 이상으로 외부감사를 받는 중소기업 가운데 2차 신용위험 평가 대상을 선별해 9월 말까지 평가를 끝낼 계획이다. 여신 30억원 이상~50억원 미만인 5,300여개사와 1차 기본평가에서 합격한 4,300여개사 등 총 1만여개 중소기업이 2차 평가 대상이다. 1차 평가는 영업 현금흐름과 이자지급능력 등 재무적 잣대만 갖고 했지만 2차 평가는 연체 발생과 할인어음 연장 횟수 등 질적 기준도 적용한다. 금감원은 8~9월 은행의 1차 평가 결과에 문제가 없는지, 2차 평가 대상 기업을 제대로 선정했는지 등을 점검해 적극적으로 구조조정을 독려하기로 했다. 아울러 올 11월 말까지 여신 10억원 이상 외감법인에 대한 신용평가도 실시된다. 김종창 금감원장은 “앞으로 은행 검사 때 C나 D등급으로 분류하지 않은 업체가 부실화된 경우 여신 취급 및 심사 담당자뿐 아니라 신용위험평가 담당자에게도 책임을 묻겠다”며 은행권에 중기 구조조정에 적극 나서라고 경고했다. 김 원장은 “중소기업에 대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은 은행의 건전성 관리는 물론 손실 최소화를 위해서도 중요하다”며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은 채무 재조정을 통해 장기 생존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