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모래벙커 빠졌다고 두려워마라

모래벙커 빠졌다고 두려워마라탈출법 알면 깊은 러프보다 쉬워 대부분의 주말골퍼들은 샌드벙커에 볼이 들어가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그러나 프로골퍼들을 보면 깊은 러프나 나무아래에 볼이 들어가는 것보다 샌드벙커에 들어가는 것을 더 좋아한다. 모래에서 탈출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며 또 벙커에서 친 샷이 의외의 굿샷을 만들곤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필자는 지난해 클럽 700CC에서 치른 티칭 프로테스트 본선 마지막 2라운드 마지막홀에서 티샷한 볼이 핀까지 115㎙를 남긴 페어웨이 벙커에 빠진 적이 있다. 어떻게 하든 그 벙커 샷을 실수없이 온 그린시키고 2퍼팅으로 홀 아웃해야 하는 아주 급박한 상황이었다. 이전 35홀까지의 스코어가 152타였고 프로테스트를 통과하려면 본선 36홀에서 156타 내에 들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 36번째홀에서 파를 세이브해야만 156타로 프로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는 상황에서 마침 티샷한 볼이 페어웨이 벙커로 들어갔으니 참으로 암담한 일이었다. 순간 몇 개월전 라운드때 벙커샷을 멋지게 날려 핀에 붙여 버디를 했던 기억이 떠올랐다. 당시 벙커샷의 셋업과 스윙느낌을 세심하게 떠올리며 8번 아이언을 꺼내 연습스윙을 두세번 한 후 어드레스를 취하고 샷을 했다. 벙커를 떠난 볼은 100여㎙의 창공을 가르며 그린에 떨어지고 원 바운드 돼 핀(홀) 1.5㎙ 오른쪽에 멈추었다. 그 여세를 몰아 버디를 기록하며 여유(?)있게 프로테스트를 통과했다. 주말골퍼라고 이런 벙커 샷을 못할 이유는 없다. 다만 몇가지 유념할 사항이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이 자신감이다. 특히 과거에 멋지게 벙커샷을 날렸던 골퍼는 그 때를 기억하면 크게 도움이 된다. 페어웨이 벙커샷은 평소보다 클럽의 그립을 내려 잡아 쥐어야 하며, 스윙이 작아지며 체중을 모두 실어 칠 수가 없는 만큼 거리가 10~20㎙ 짧아진다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 벙커샷을 하는 요령은 페어웨이용 우드나 아이언이나 큰 차이가 없다. 거리가 멀다면 롱 아이언보다 페어웨이 우드로 치는 것이 훨씬 좋다. 페어웨이 벙커샷은 다음의 요령을 지킨다면 누구나 훌륭하게 해낼 수 있다. ▥어드레스(셋업)=①그립을 평소보다 1~2㎝ 정도 내려 잡는다. ②볼이 스탠스의 중앙보다 약간 오른쪽에 오도록 한다. ③스탠스는 오픈(11시방향)시키며 양발을 3~5㎝정도 모래에 파묻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때 발 뒤꿈치가 더 깊이 묻히도록 하여 체중이 발 뒤꿈치로 쏠리게 한다. ④클럽 페이스면은 1시 방향으로 향하게 오픈시킨다. ⑤그린의 핀(홀)까지 남은 거리보다 1~2클럽 긴 것을 선택하고 그린의 중앙을 공략한다. ▥스윙 요령=트러블샷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공통점이 헤드 업을 하지 않는 것이다. 벙커샷도 마찬가지다. 헤드 업은 머리를 드는 것뿐 아니라 상체가 임팩트 직전이나 임팩트 순간에 일어나는 것도 포함된다. 즉, 스윙중에 자세의 높이가 변하는 것을 통칭한다. ①스윙을 하는 동안 체중을 왼발에 60%정도 실어주며 하체는 최대한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켜 준다. ②테이크 백 시작을 어깨 보다는 팔로 리드하며 평소보다 일찍 손목을 코킹 해주면서 백스윙을 한다. ③상체위주로 부드럽게 4분의3 스윙만 한다. ④절대 급하게 다운스윙하지 말고 벙커 면과 샤프트가 평행이 될 때까지 코킹을 최대한 유지 시킨 다음 그 순간부터 임팩트까지 언코킹하며 샷을 한다. ⑤스윙 궤도의 최저점이 평소보다 1㎝정도 높게 오도록 하여 임팩트 순간 클럽 헤드가 모래에 먼저 닿지 않고 볼의 중앙 하단부위를 직접 타격하도록 한다. ⑥스윙중에 볼에서 시선을 절대 떼지 말고 피니시가 끝날 때까지 머리를 들지 않는다. WWW.GOLFSKY.COM 헤드프로PROKPGA@GOLFSKY.COM WWW.GOLFSKY.COM 헤드프로PROKPGA@GOLFSKY.COM 입력시간 2000/05/24 19:19 ◀ 이전화면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