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물량(26.97%)에서 콜옵션을 뺀 매각 물량(17.98%) 중 약 6% 정도만 낙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에게 배정되는 3%의 콜옵션을 포함하면 전체 소수지분 물량의 33% 정도만 매각된 셈이다.
청약률이 132%를 넘겼음에도 예상보다 낙착률이 저조한 것은 대부분의 투자자가 정부가 정한 예정가격(최저입찰가격)보다 낮은 가격을 써내 입찰 후보자에서 자동 탈락했기 때문이다.
정부가 예정가격을 너무 높게 책정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3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실시 된 우리은행 소수지분 본입찰에서 우리은행 사주조합 등 일부 투자자만 예정가격을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소수지분 매각에는 우리은행 우리사주조합, 한화생명, 코오롱, 외국 국부펀드인 싱가포르투자청(GIC) 등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입찰 후보자 가운데 상당수가 예정가격에 못 미치지 못하는 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수지분 매각은 예정가격을 넘긴 가격을 제시한 입찰자 중 높은 가격순으로 물량을 배정한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매각 물량 17.98% 중 6% 정도만 예정가격을 넘긴 것으로 알고 있다"며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 헐값 매각에 대한 부담으로 예정가격을 높인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6% 중 우리은행 사주조합이 4%가량 물량을 가져가고 우리은행이 만든 펀드 등의 청약 물량도 포함된 것으로 보면 외부 투자자 매입을 거의 없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이 경우 소수지분 매각에서 실패한 물량은 총 18%(콜 옵션 지분 포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경영권 지분(30%)까지 합치면 정부가 재매각해야 할 우리은행 지분은 48% 정도다.
금융권에서는 우리은행 매각 방식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된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고수해서는 매각이 어렵다는 것이다. 소수지분만 해도 증시에서 더 싸게 살 수 있는데 굳이 높은 가격을 주고 입찰에 응할 이유가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4일 공자위 전체회의를 열고 소수지분 낙찰률을 공식 발표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