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업계ㆍ금융당국ㆍ금융소비자 3자 모두 저금리ㆍ저성장 시대를 맞아 혁신적으로 인식의 전환을 해야 합니다."
최수현(사진)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은 12일 저금리ㆍ저성장 장기화에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묻는 질문에 이같이 대답했다. 최 수석부원장은 금감원이 업계ㆍ학계 등과 공동으로 구성해 의욕적으로 출범한 '저금리ㆍ저성장 대응 태스크포스(TF)'의 위원장을 맡고 있다. 금융 당국이 특정 경제 상황에 대비해 민ㆍ관ㆍ학을 아우르는 대응팀을 만들어 운영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그만큼 저금리ㆍ저성장을 바라보는 당국의 우려가 심각하다는 증거다.
최 부원장은 "저금리ㆍ저성장의 경제환경이 최소 몇 년 이상 지속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이라며 "달라진 환경에 맞춰 금융산업의 운영전략, 소비자보호 방향, 금융감독 방향 등도 함께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수석부원장은 "그간의 경험과 해외 사례를 볼 때 저금리 시기에는 부실대출 증가, 예대마진 하락, 운용수익률 하락, 카드부실 등 금융회사의 재무건전성이 나빠질 것"이라며 "문제가 일어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번 TF도 선제적 대응책 마련에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최 부원장은 건전성 외에도 소비자보호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금융회사 부실은 결국 소비자의 불이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 특히 금융회사가 위기극복을 위해 수익성에만 신경 쓰다 보면 중소기업ㆍ서민 등에 대한 보호는 등한시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최 부원장은 "과거 사례를 보면 금융회사가 어려울 때는 불완전판매가 늘어나는 등 소비자보호를 외면했던 적이 많았다"며 "경제가 어려워지면 서민은 보험계약을 해지하고 중소기업의 자금난이 더욱 심화되는 등 취약계층은 상대적으로 더 큰 충격을 받는다"고 우려했다. 그는 "금융회사가 비올 때 우산을 뺏는 일이 없도록 세세한 부분까지 챙겨보겠다"고 강조했다.
TF는 국내는 물론 해외 사례를 집중 분석하고 있다. 10년 이상 초저금리 시기를 보냈던 일본이 가장 중요한 벤치마킹 대상이다. 일본의 경우 국내에서는 저축성 보험보다 보장성 보험 판매 비중을 확대하는 등 보수적인 운영을 하면서 해외에서는 낮은 금리를 이용해 적극적인 투자를 했다.
최 부원장은 "금융회사들은 기존 사업 부문의 경쟁력은 더욱 높이면서도 해외 시장 진출, 투자은행(IB) 영역 도전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끊임없이 발굴해야 한다"며 "위기관리와 도전이라는 두 바퀴가 엉키지 않고 함께 굴러가야 위기를 넘길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