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의 수신이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시중은행의 예금 증가 비율보다 4~5배 이상 높은 데다 수신이 늘면서 대출잔액까지 급증하고 있어 부실을 우려한 금융감독원이 일부 지방은행을 대상으로 모니터링에 나섰다.
16일 금융계에 따르면 경남은행의 6월 말 기준 총수신은 26조433억원으로 전년 말에 비해 무려 2조3,152억원이나 늘어나 증가율이 9.7%에 달했다.
2008년 말 17조5,675억원이었던 경남은행의 총수신은 5년이 채 안된 기간에 무려 48%나 증가했다. 민영화를 앞두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나친 몸집 불리기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전북은행도 2009년 말 5조5,006억원에서 올 6월에는 9조5,186억원으로 늘었고 최근 10조원을 돌파했다. 4년여 만에 수신액이 두 배나 증가한 셈이다.
두 은행의 예금 증가세는 일반 은행들과 비교해보면 매우 가파른데 올 들어 1월부터 8월까지 은행들의 예금 증가 비율은 평균 1.7%에 불과하지만 전북과 경남은 6~7%대에 달한다.
다른 지방은행들도 수신 증가세가 가파르다. 지난해 말 대비 올 6월 말 현재 수신 증가율은 대구가 8.3%이고 광주와 부산이 각각 5.5%와 3.5%다.
지방은행 수신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은 외형경쟁 탓이다. 현재 지방은행의 1년제 정기예금 금리는 시중은행보다 0.3~0.4%포인트가량 높다.
금감원의 한 고위 관계자는 "경남과 전북은행의 수신이 빠르게 늘고 있는데 외형경쟁을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 중 경남은행은 대출도 빠르게 늘고 있어 상시감시팀에서 집중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고 했다.
문제는 수신이 늘어나면 대출도 급격하게 늘어난다는 점인데 경기 침체 상황 속에서 무리한 대출 증가는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수신액만 증가하면 역마진으로 수익성에 직격탄을 맞게 된다.
실제 저축은행 업계는 몸집을 키우기 위해 시중자금을 무리하게 빨아들이면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자산이 37조원에서 75조원으로 4년 만에 두 배가 됐다. 하지만 수신 증가가 부실 대출로 이어지면서 대규모 영업정지 사태를 맞았다. 당국이 상호금융권에 고금리 수신을 막는 것도 최근 몇 년 새 비과세를 무기로 예금을 대거 유치한 뒤 이를 바탕으로 대출을 늘려 부실이 날 가능성을 염려했기 때문이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빠른 속도로 늘어난 수신이나 여신은 반드시 부실을 불러오게 된다"며 "지방은행의 업계 평균 이상의 증가율은 분명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