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정부과제 중 '비탄소계 리튬이온전지 음극소재 연구개발'과 관련한 과제에서 주관회사로 선정됐다는 게 주요 내용이었다.
통상 정부과제로 선정된 아이템은 연구개발을 거쳐 특허권을 취득하거나 상품화하기까지 최소 3~5년의 시간이 걸린다. 앞으로 갈 길이 먼 셈이다. 따라서 이런 소재는 주식시장을 취재하는 기자들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열 만한 사안이 아니다. 그런데도 EG가 굳이 자청해서 기자간담회를 연 이유는 뭘까.
바로 박근혜 대통령의 동생 박지만 회장 때문이었다. 박 회장은 EG의 최대주주이자 회장이다. EG는 그동안 대통령과 박 회장의 관계 탓에 정부과제를 따낼 때마다 구설수에 올랐다. 기술력으로 대기업들을 물리치고 정부과제 수행업체로 선정돼도 박 회장의 후광 때문이라는 분석이 더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만큼은 기술력으로 정부수행 과제를 따낸 것이라는 메시지를 시장에 주기 위해 설명회를 열기로 한 것이다.
EG 관계자는 "정부과제 수행업체를 선정할 때는 일주일 전에 50여명의 평가위원을 구성한 후 지연·학연 등이 배제된 8명의 평가위원들을 추려내 심사한다"며 "박 회장이 정부과제 선정에 개입할 수 없는 구조인데도 시장에서는 매번 기술력보다 박 회장의 후광효과만 제기해 사전에 오해를 풀고자 기자간담회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1월에도 정부로부터 '유기성폐자원 한국형 바이오가스화 기술 및 복합악취 제어기술 개발' 분야의 연구과제 사업자로 선정되자 "박 회장이 공격적인 경영에 나섰다"는 루머가 돌면서 주가가 급등하기도 했다.
회사 측은 이에 대해 "공정한 심사를 거쳐 정부과제를 따냈다"며 "정부가 선정하는 과제를 따내기 위해 박 회장이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오해가 더 이상 없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EG가 이번에 따낸 '10Ah 탑재 1,500㎃h/g급 비탄소계 리튬이온전지 음극소재 개발 과제(음극소재 1g당 한 시간 동안 흐르는 전류의 양이 1,500㎃라는 의미로 총 10Ah의 전류량을 갖게 하는 음극소재)'는 기존 대기업들이 생산하고 있는 소재 보다 용량이 5배나 많다. 또 기존에 습식으로 제조하던 방식을 건식으로 바꿔 불산 등 유해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돼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EG는 이번 개발을 완료해 리튬이온전지에 들어가는 핵심부품과 소재의 국산화 비율을 높일 계획이다. 현재 리튬이온전지에 들어가는 부품과 소재의 국산화 비율은 음극재의 경우 1% 남짓에 불과하다.
이번 사업은 올해 6월부터 오는 2017년 5월까지 3년간 진행되며 총 사업비는 약 18억원이 예상된다. EG 측은 "지난 2010년부터 연구개발 인력을 2배로 늘려 이 분야를 연구해왔기 때문에 3년 안에 최종 개발을 마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