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은 6일부터 국내에 한해 아이폰·아이패드 같은 자사 제품 구입자가 손상으로 인한 무상 교환(리퍼)을 요구하면 일단 본사 소속 진단센터에 입고시키기로 했다. 자신들이 보장한 무상 리퍼 기간(구입 후 1년 미만)일지라도 본사에서 직접 가부를 판단하겠다는 것이다. 여태까지는 구입 후 1년이 안된 제품은 전국의 애플 서비스대리점에서 즉각 무상 리퍼가 가능했다. 한 대리점측은 “새 규정은 액정 파손, 홈 버튼 이상처럼 제품 전면부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나 리퍼를 이미 3회 이상 받은 제품에 한해 적용한다”고 설명했다.
애플 진단센터는 리퍼 기간이 최대 열흘까지 걸릴 뿐 아니라 일단 입고되면 고객이 리퍼를 거부해도 쓰던 기기를 돌려주지 않는다. 때문에 이번 정책 변경을 두고 애플이 국내 소비자들을 차별대우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아이폰6를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 L(30, 남)씨는 “그렇지 않아도 국내 소비자들은 미국·일본에서 다 허용되는 부품 부분수리도 불가능해 울며 겨자먹기로 비싼 돈을 주고 리퍼를 받아야 했다”며 “무상 리퍼까지 힘들어지면서 더욱 찬밥 취급을 받는 느낌”이라고 했다.
애플의 까다로워진 A/S 규정은 무상 리퍼기간을 이용해 멀쩡한 기기를 수 차례 바꾸는 일부 소비자들을 겨냥한 조치로 풀이된다. 그러나 애플이 한국 소비자들을 유독 차별대우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는 가시지 않고 있다. 애플은 한국에 진출한 지 5년이 넘었지만 공식 판매점인 애플스토어는 한 군데도 없다. 애플스토어는 미국에 250여개를 포함해 세계 각지에 420여개가 있다. 한국 소비자들은 애플스토어가 들어오면 공식 A/S 센터인 ‘지니어스바’도 따라 입점하면서 일본과 같은 수준의 A/S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애플은 아직 입점 계획이 없다는 입장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