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에 소득보다 빚이 빠르게 증가하며 가계의 채무부담 능력이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상승과 주가 하락이 주 요인이었다. 가계 빚 증가는 지속적으로 소비를 짓누를 것으로 전망된다. 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가계가 쓸 수 있는 소득으로 금융부채를 갚는 능력을 나타내는 ‘개인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올해 6월(월 말 기준) 1.53배로 지난 2007년 말 1.48배에 비해 크게 상승했다. 이 수치는 2004년 1.27배, 2005년 1.35배, 2006년 1.43배로 해마다 늘고 있다. 개인가처분 소득에서 금융부채 비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부채가 가처분소득보다 더 빠르게 늘어나고 있음을 뜻한다. 한국(1.53배)은 미국 1.32배, 일본 1.11배(2007년 기준)보다 높고 영국 1.78배 보다는 낮다. 가계부채에 따른 이자부담도 늘어나 가계 가처분소득 중 이자지급 비율은 지난해 말 9.4%에서 올해 6월 말 9.8%로 상승했다. 가계소득의 9.8%는 이자를 갚는 데 사용됐다는 얘기다. 이 수치 역시 2004년 6.3%에서 2005년 7.8%, 2006년 9.3% 등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가계의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가 차지하는 비율도 2007년 말 43.3%에서 6월 말 현재 45%로 증가해 미국(32.2%), 일본(22.5%)보다 높았다. 이같이 금융부채가 늘어 가계의 자산과 소득에 악영향을 주면서 소비지출은 감소할 것으로 한국은행은 분석했다. 가계 빚 증가는 유동성 확대로 이어져 단기적으로 소비지출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원리금상환액이 늘어나 가처분소득 감소로 이어져 소비지출활동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채무상환능력 악화에도 가계의 신용 위험은 크지 않은 것으로 한은은 평가했다. 2008년 8월 말 가계대출 연체율은 0.7%에 머물고 있으며 신용카드 연체율도 2%대 초반에서 하향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개인자산 가운데 안정성이 높은 예금과 현금 비중이 우리나라가 44.3%로 미국(16.8%), 영국(26.3%)보다 높은 것도 한몫했다. 한은은 “국내 은행의 가계대출 부실채권 비율이 0.5%로 사상 최저 수준” 이라며 “주택가격이 1990년대 이후 최대인 20% 정도 급락해 부실채권 비율이 6.3%까지 올라도 은행 손실액(4조8,000억원)은 지난해 순이익의 절반 정도에 그쳐 경영안정성을 훼손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