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금융위기를 일으킬 수 있는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미국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과 중국의 경기 둔화가 꼽혔다. 가계부채 등 국내 위험요인이 다소 줄어든 반면 주요2개국(G2,미국·중국)을 중심으로 해외 리스크는 큰 폭으로 증가한 모습이다.
25일 한국은행이 77개 국내외 금융기관 전문가 9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4년 상반기 시스템적 리스크 서베이' 결과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을 가장 위협하는 요인은 '미국 양적완화 축소(77%ㆍ복수응답)'로 지적됐다. 이어 '중국 경기둔화(72%)' '가계부채 문제(70%)' '신흥국 금융불안(57%)' '기업 신용위험 증가(41%)' 등이 뒤를 이었다.
시스템적 리스크란 금융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1997년 외환위기 당시와 같이 환율·주가 등이 요동치면서 실물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
'미국 양적완화 축소'는 1년 이내 단기 리스크인데 영향력도 크고 발생확률도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중국 경기둔화'는 1~3년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중기 리스크로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만 발생확률은 중간으로 평가됐다.
지난해와 비교해보면 국내 부문의 불확실성은 감소한 반면 해외 부문 불확실성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 및 신흥국 리스크'는 지난해 상반기 24%에서 올 상반기 129%로 크게 늘었고 '미국 양적완화 축소'도 50%에서 77%로 증가했다. 반면 국내 리스크는 '가계부채 문제(82%→70%)' '부동산시장 불안(57%→22%)' '기업 신용위험 증가(53%→41%)' 등이 대체적으로 하락했다.
단기(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에는 '낮다(51%)'라고 답한 비율이 '높다(16%)'를 크게 웃돌았다. 해외 조사 대상자의 경우 역시 '낮다(94%)'는 시각이 더 우세했다. 단기에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은 △2012년 상반기 33% △2013년 상반기 17% △올 상반기 16% 등으로 떨어지는 추세를 보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