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1인 가구 수가 10년 전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를 반영한 새로운 주택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통계청이 11일 내놓은 '인구주택총조사에서 나타난 1인 가구 현황과 특성'을 보면 혼자 사는 '나 홀로 가구'는 2010년 현재 10년 전보다 191만8,000가구(86.2%) 늘어난 414만2,000가구로 집계됐다. 네 가구 중 한 가구는 독립적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셈이다.
일반가구 대비 1인 가구 비율은 2010년 23.9%로 10년 전보다 8.4%포인트 늘어났다.
성별 1인 가구 수 자체는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지만 2000년 대비 증가율은 남자가 더 높았다.
1인 가구 가운데 남자는 192만4,000가구로 97만9,000가구(103.6%) 늘었다. 여자는 221만8,000가구로 93만8,000가구(73.3%) 증가했다.
일반가구원 중 남자는 8.4%, 여자는 9.3%가 나 홀로 가구였다. 10년 전에 비해 남자는 4.1%포인트, 여자는 3.7%포인트 늘었다.
혼자 살게 되는 비율은 남녀 모두 취학ㆍ취업하는 시기인 18세에 급격하게 높아졌다.
남자는 혼인 직전인 28세(17.3%)에 1인 가구 비율이 정점을 찍었다. 10년 전에는 27세가 정점이었지만 혼인 시기가 늦춰지면서 정점 연령도 올라간 것으로 풀이된다.
여자는 26세(13.0%)에 1차 정점에 달한 뒤 배우자와의 사별로 79세(36.9%)에 2차 정점을 보이는 '쌍봉형 패턴'을 나타냈다. 2000년 각 정점은 24세, 75세였다.
1인 가구 증가는 청장년층의 미혼이 많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10년 1인 가구 가운데 미혼이 184만3,000가구(44.5%)로 가장 많고 배우자 있음 53만4,000가구(12.9%), 사별 120만8,000가구(29.2%), 이혼 55만6,000가구(13.4%)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5세 이상에서는 자기 집을 보유한 이들이 가장 많고 54세 이하 연령층에서는 보증금 있는 월세가 주된 형태였다.
거처 종류별로는 1인 가구의 59.4%가 단독주택에 살았다. 특히 모든 연령층에서 단독주택은 주된 거처였다. 이어 아파트(25.5%), 연립ㆍ다세대(7.7%)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거처의 종류별 변화 추이를 보면 오피스텔에서 사는 1인 가구가 1,417.3%(14만2천가구)나 늘어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15~21세의 6.1%, 22~24세의 5.0% 등 청년층 일부는 고시원ㆍ임시막사ㆍ비닐하우스 등 '주택 이외의 거처'에서 살고 있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