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업계를 비롯해 산업계에서는 "정 위원장의 이번 퇴진이 4월 총선 이후 본격화할 대선 국면을 겨냥한 정치적 노림수가 아니냐"며 곱지 않은 시선을 겨누는 분위기다. 십수년 동안 여론의 관심을 끌어온 고수 '뉴스메이커'답게 경제적, 사회적 약자를 위해 몸을 던진다는 식의 '전격 사퇴' 장면을 연출해 사실상 정치 입문 세리머니를 보여줬다는 지적이다.
이번 사퇴 발표와 관련해 중소업계의 한 관계자는 "말로만 동반성장을 외치면서 결국 본인이 정계진출을 하겠다는 '쇼' 아니냐"고 신랄하게 꼬집었다. 다른 관계자 역시 "무슨 역할, 어떤 방식이든 주어진 책임을 다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정 위원장의 발언을 비꼬며 "선거에 도전하는 사람들의 전형적인 멘트"라고 일축했다.
실제로 정 위원장이 사퇴의 변으로 던진 말들은 최근 선거정국의 핵심 이슈와 정확히 일치한다. 경제 민주화와 양극화 해소, 이를 위한 재벌 등 대기업집단 규제 부활 등은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이 경쟁적으로 주도권을 쥐고 싶어하는 인기 어젠다다. 그는 기자회견에서 매우 비장한 표정으로 "경제민주화가 나아가야 할 길이라는 소신은 변함 없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수도권과 지역, 남과 북이 동반성장하는 세상을 어떻게 펼쳐나갈 것인지 고민해 보겠다"고 강조했다.
대ㆍ중기 관계뿐만 아니라 지역과 남북 문제까지 '동반성장' 카테고리에 넣어 역설한 것은 사실상 대선 행보를 상징하는 화려한 수사에 가깝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한술 더 떠 정 위원장은 "국민의 삶 속으로 직접 들어가 동반성장의 세상을 어떻게 펼쳐나갈지 고민할 것"이라고 말해 '큰 뜻'을 펼치겠다는 의욕을 십분 과시했다.
이 같은 그의 발언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오히려 현재 위치를 유지하면서 동반성장을 강조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초기 단계인 동반위가 그의 돌연 사퇴로 작지 않은 후유증에 시달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동반위의 한 관계자는 "정 위원장이 조직을 만들고 키웠다"며 "위원회의 위상 하락과 추진 동력 상실이 우려된다"고 토로했다.
동반위는 후임 위원장이 추대되기까지 상임위원인 곽수근 서울대 교수에게 대행 업무를 맡길 예정이다. 그러나 당장 오는 4월 말 발표되는 동반성장지수 발표를 비롯해 서비스 분야 적합업종 선정 등 주요 현안에서 동반위의 동력 자체가 꺾일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편으로는 업계 일각에서 정 위원장에 대한 동정론도 나오는 게 사실이다. 협력이익배분제(초과이익공유제) 추진 과정에서 정부ㆍ재계와의 갈등이 심화된 게 사퇴의 직접적 원인이라는 얘기다. 지난해 말을 전후해 대ㆍ중소기업 합의체인 동반위 정기회의에서 대기업 대표들이 집단 불참하는 등 초과이익공유제를 놓고 극한 대립이 벌어진 것을 염두에 둔 해석이다.
하지만 초과이익공유제 논란은 이미 지난해 3월 이건희 삼성 회장의 반박 발언과 최중경 당시 지식경제부 장관의 비판, 그리고 이에 이은 정 위원장의 사표 제출과 대통령의 반려를 거치면서 일단락된 사안이라는 점에서 설득력이 떨어진다. 특히 동반위는 지난달 협력이익배분제에 합의해 어찌됐든 갈등이 봉합된 상태다.
이에 따라 정 위원장이 수정된 이익공유제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려 했다면 그때 사퇴했어야 한다는 게 중소업계 등 산업계의 판단이다. 재계 관계자는 "이보다는 그가 최근 정몽준 전 새누리당 대표와 이재오 의원 등 정치인들과의 만남을 이어온 행태에서 사퇴 이유를 유추하는 게 더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