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악수 꺼리는 김 과장… 메르스 아닌 다한증 때문이랍니다

■ 여름 불청객 다한증 대처법



에크린 땀샘 활동 증가로 발생… 긴장·흥분하면 증상 심해져

비만·예민한 사람에 잘 나타나

부위 따라 '국소' '전신' 분류… 치료법 달라 정확한 진단 필요

약물·보톡스·수술요법 등 사용

증상 가볍다면 몸 자주 씻고 제모… 통풍·땀 흡수 잘 되는 옷 입어야

과일·채소 섭취 늘리는 것도 도움


제약회사 영업사원 김해성(32·가명)씨는 최근 사람들과 악수하는 것을 꺼리자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때문에 걱정되서 그러는 것이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하지만 김씨가 악수를 하지 않은 것은 사실 손에 땀이 많이 나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김씨는 "날씨가 급격히 더워지는 이맘때쯤부터 악수하기가 꺼려지는데 메르스 때문인지 사람들이 이상하게 생각하지는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땀이 샘솟는 여름이다. 땀은 불쾌지수를 높이고 대인관계에서 짜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피부 트러블과 피지 분비를 증가시키는 주범이다. 얼굴이나 콧등, 손·발바닥에 나는 땀은 대인관계에 부담을 주고 사회생활을 방해한다. 땀 때문에 생기는 다한증이나 액취증 환자들은 이런 여름이 무척이나 견디기 힘들다. 닦아도 계속 흐르는 땀 때문에 일상생활에 불편이 많기 때문이다. 손 다한증 환자들은 물건을 집다 땀에 미끄러져 떨어뜨리기 일쑤고 악수 등 다른 사람과 접촉하는 것 자체가 두렵다.

발바닥 땀이 많은 사람들은 맨발로 샌들이나 '조리' 등을 신으면 땀이 차 신발이 쉽게 벗겨지거나 미끄러지기 쉬워 부상의 우려까지 있다. 겨드랑이 다한증 환자는 늘 겨드랑이가 흥건히 젖어있는데다 좋지 않은 냄새까지 풍겨 주변인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전문가들은 다한증의 부위별 치료법이 다른 만큼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당부한다.

다한증은 한마디로 너무 많은(多) 땀(汗)이 나는 증상이다.

에크린땀샘의 활동증가가 원인이다. 자율신경 중 땀 분비를 조절하는 교감신경이 흥분되면 이 신경의 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이 많이 나와 에크린땀샘을 자극해 땀이 발생한다. 따라서 심신이 안정돼 있을 때보다 긴장하거나 흥분하면 증상이 심해진다. 대체적으로 유전적 성향이 있지만 몸이 비만이거나 신경이 예민한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다한증은 크게 부분적으로만 땀이 많이 생기는 국소 다한증과 온몸에서 땀이 증가하는 전신 다한증으로 나눌 수 있다.

이상준 아름다운나라피부과 원장은 "국소 다한증은 주로 손·발바닥, 겨드랑이, 안면부 등에 잘 나타나며 전신 다한증은 당뇨나 갑상선 질환 등과 연관돼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 만큼 대사성 질환이 동반되는지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한증 치료법으로는 약물 요법과 보톡스 요법, 수술 요법, 이온영동 요법 등이 있다.

다한증을 진단할 때는 땀 분비량 측정법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당사자가 느끼는 불편함이 진단과 치료에 더 중요한 기준이 된다. 업무와 대인관계 등에 있어 땀으로 인해 정상적인 생활이 어렵다면 치료의 대상이 된다.

강진수 강한피부과 원장은 "땀을 많이 흘릴 경우 그냥 '체질'로 생각해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회생활과 대인관계에 지장을 줄 경우 전문의와 적절한 치료법을 상담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손발 땀의 경우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이온영동법 치료나 보톡스 요법, 약물 요법을 시행할 수 있고 심한 경우 신경차단 수술까지 고려할 수 있다. 전해질 용액에 땀이 나는 부위를 담그고 약한 전류를 통과시켜 미세한 금속 입자가 땀구멍을 막게 하는 방법인 이온영동법 치료는 여러 번 치료를 받아야 하고 효과가 일시적인 것이 문제지만 손과 발에 모두 효과가 있고 큰 부작용이 없다는 것이 장점이다.

손발 다한증의 치료에는 일명 보톡스로 불리는 '보툴리눔 톡신'이 사용되기도 한다.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억제해 땀 분비를 차단한다. 땀이 많이 나는 부위의 피내에 약물을 1.5㎝ 간격으로 주사하며 치료 효과는 3일 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한 달까지가 가장 좋으며 이후부터 조금씩 땀이 다시 나기 시작해 평균 5~6개월 후면 원 상태로 돌아온다. 시술시간이 5~10분 정도로 짧고 수술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에 땀이 많이 나는 보상성 다한증과 같은 부작용이 없는 것이 장점이다. 손발 다한증이 심한 경우 교감신경 차단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는데 교감신경 차단 수술은 전신마취를 해야 하며 보상성 다한증이 유발될 수 있다.

겨드랑이 다한증의 경우 악취를 동반하는 액취증도 같이 생길 수 있는 만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액취증 치료방법으로는 '절개술, 전기 절연침'과 '땀샘 지방흡입술, 레이저 지방용해술' 등이 있다. 전기 절연침 시술은 피부 표면에 절연된 침을 주입한 후 전기적 자극으로 땀샘인 아포크린한선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치료가 간단하다. 부분 마취만으로도 통증 없이 시술 받을 수 있으며 시술 후에도 일상생활에 전혀 지장이 없다. 단 전기 절연침 시술은 한두 달 간격으로 3~4회 치료해야 하므로 본격적인 여름이 다가오기 전에 시작하는 것이 좋다. 액취증이 심한 경우에는 땀샘 자체를 제거하는 땀샘 지방흡입술이 권장된다. 또한 수술하지 않고 극초단파(microwave)를 이용해 간편하게 땀샘을 파괴시켜 겨드랑이 땀과 냄새를 치료하는 미라드라이 치료법도 액취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액취증 증상이 가볍다면 몸을 자주 씻고 제모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겨드랑이털은 피지와 엉켜서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온도와 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꽉 죄지 않고 통풍이 잘 되며 땀 흡수가 잘되는 옷을 입어야 한다. 알코올 및 커피·홍차·콜라와 같은 카페인 함유 음료는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땀을 증가시키므로 과도한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좋다.

뜨거운 음식이나 강한 향신료도 땀 분비를 증가시키므로 섭취를 줄여야 한다. 체취에 영향을 주는 지방 섭취를 자제하는 식습관도 도움이 된다. 액취증이 있는 사람은 육류·계란·우유·버터·치즈 등 고지방·고칼로리 식품을 많이 먹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 반면 비타민E는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지질 증가를 억제한다. 비타민E는 쌀이나 보리의 배아, 깨·당근·호박·시금치 등에 많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