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에 근무하면 문화활동을 못한다는 인식부터 바꿔야 합니다. 청년들에게 이런 환경을 마련해주기 위해 정부부터 솔선수범해 적극적으로 나설 생각입니다."
24일 만난 김환식(사진) 교육부 평생직업교육국장은 "일과 여가의 선순환 구조가 청년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가정이나 학교 같은 1차 집단에서 새롭게 사회로 진출하는 고졸 취업자를 위해 문화활동 같은 완충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국장은 "학교에서 실습이나 현장체험도 해보지만 기업에서 일하는 것과 짧은 시간에 경험하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며 "중소기업의 급여수준을 올리는 등 근로여건을 개선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업과 직원들이 함께 갈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문화경영을 실천하는 다양한 기업들이 있지만 야간 연장근로나 휴일특근으로 문화생활은 꿈도 못 꾸는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대해 그는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에게 문화활동을 할 수 있는 바우처를 제공한다든지 소년체전처럼 중소기업의 여가활동을 붐업(boom-up)하기 위한 가칭 '청년체전' 같은 전국 단위의 행사가 마련된다면 각각의 중소기업이 당면한 문화경영의 어려움을 함께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처럼 중소기업이 변화하는 모습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되면 당사자인 고졸 취업자는 물론 학부모들도 중소기업을 친숙하게 느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김 국장은 또 "고등학교나 대학교 재학기간에 중소기업의 실상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인터넷이나 전화 상담창구를 마련해 중소기업에 대한 사전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조기 진로교육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중소기업 퇴직자들이 멘토가 돼 인력 문제 해소에 기여하고 중소기업이 안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앞장서는 것도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노동시장에 처음 진입하는 10~20대를 위한 상담 시스템을 구축해 중소기업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이들의 요구에 맞도록 중소기업 환경을 개선하는 등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지는 장치를 만들자는 아이디어다.
그는 "학교와 중소기업 간의 교육훈련 체제가 구축되려면 현장에서 이를 맡을 사람이 있어야 한다"며 "숙련된 인력을 교관으로 하는 재취업과정을 관련부처가 담당하고 교육부는 이 같은 프로그램을 짜고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