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연구개발(R&D) 예산 증가와 더불어 장비 구축에 투입되는 사업비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 3년간 R&D 투자액의 평균 10.3%를 장비 구축에 투입하고 있고, 구축장비 중 수입장비가 6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국산 연구장비의 활용도와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에서 이미 수십년 전부터 개발을 추진해 온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단기간에 좁히기란 쉽지 않다.
정부는 2010년부터 국산 연구장비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수입의존도가 크며 산업활용도와 시장수요, 기술적 파급효과가 큰 품목을 선별, 국산화 개발을 지원해 왔다. 또 반도체·LED·그린수송시스템 등 신성장동력 분야에 필요한 산업기술장비를 개발, 직접 수요기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같은 수요맞춤형 장비의 공급자는 대부분 중소기업이고, 수요자는 대기업 중심이므로 대-중소기업이 동반성장할 수 있는 좋은 모델이다. 중소·중견기업의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기업으로서도 외산장비 대비 가격이나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지난 4년 정도의 짧은 기간 산업기술 장비의 국산화 개발을 지원해 온 성과가 차츰 나타나고 있다. 개발된 국산장비의 상용화율이 60%에 이르고, 현재까지 누적 매출액도 200억원을 훌쩍 넘었다. 앞으로도 우리 장비산업은 이미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한 국내 대기업을 기반으로 해 연평균 성장률이 10.7%나 되는 세계 시장에서 지속적인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날의 우리 경제가 대기업 주도로 성장해 왔다면 앞으로는 중소·중견기업과 대기업이 함께 우리 산업을 이끌어 가야 한다는 것이 많은 전문가들의 이구동성이다. 산업기술장비 기업이 그 핵심 역할을 하려면 선진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전문기업으로 성장해야 한다. 정부도 장비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R&D 투자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앞으로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브랜드가 선명하게 새겨진 산업기술장비가 세계 곳곳에 수출될 것을 기대해 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