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만 동포가 석 달만 연초를 끊고 한 달에 20전씩 모은다면 1,300만원이 될 터이니 국채 갚는 것이 어찌 걱정이랴.’ 1907년 1월30일 대구 광문사 특별총회에서 점화한 국채보상운동의 취지문이다. 계몽운동의 일환으로 교과서와 잡지를 만들던 광문사의 사장ㆍ부사장인 김광제ㆍ서상돈의 발의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의 목적은 국권수호. 당시 대한제국의 채무는 약 1,300만원으로 연간 예산과 맞먹었다. 요즘 가치로 3,900억원에 이르는 채무는 경찰기구 확장과 일본인 주거시설 건설 등 식민지화 자금이 급증한 결과였다. 모자라는 자금은 일본에서 들여왔다. 채무가 급증할 수밖에. 상환 전망은 더욱 불투명했다. 세출이 세입보다 77만원가량 많은 적자예산에 허덕이던 대한제국의 살림살이로는 빚을 갚을 길이 없었다. 그나마 광산채굴권 등 이권을 이미 외국에 팔아버린 상황에서 나온 국채보상운동의 불길은 대구를 넘어 전국으로 번졌다. 부녀자들이 비녀를 팔고 종교단체도 적극 나섰다. 재일 유학생들도, 기생도 돈을 보탰다. 신문들도 캠페인을 벌이며 이 운동을 적극 도운 결과 4월까지 4만여명이 230만여원을 모았지만 더 이상 진전되지 못했다. 탄압 때문이다. 일제는 매국단체인 일진회를 동원해 집회를 방해하고 언론인 양기탁에게 보상금 횡령이라는 누명을 씌우는 등 갖은 방법으로 운동을 가로막았다. 일제에 의해 중단되고 발기인 일부는 친일파로 변절했지만 그 정신은 결코 죽지 않았다. 1998년 외환위기를 맞아 온 국민이 동참한 ‘금(金)모으기’도 국채보상운동과 맥락을 같이 한다. 경이로운 시선으로 금모으기 소식을 전하던 외신이 지금도 생생하다. 100주년을 맞은 국채보상운동은 민족의 소중한 자산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