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산업 선진화는 여와 야가 따로일 수 없는 국가발전의 핵심 과제다. 그러나 당면한 서비스산업법도 2012년 국회에 제출된 후 낮잠을 자고 있고 노무현 정부 때 추진됐던 굵직굵직한 서비스 산업 발전대책들도 정쟁 탓에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다. 이대로는 안 된다. 당장 규제의 벽을 깨야 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서비스 기업 402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업들도 서비스 산업의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정책과제로 '규제개선 등 제도적 여건 조성(32.3%)'을 가장 많이 꼽았다는 사실을 잊어선 안 된다.
한국 경제가 기로에 선 시점에 서비스 산업 육성은 다급하다. 특히 제조업 경쟁력을 뒷받침해주는 정보통신·금융업의 후진성은 당장 바로잡지 않으면 위험하다. 일본의 경우 제조업 대비 생산성이 164.7%와 136.3%로 막강한 정보통신·금융업이 제조업 부활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지만 한국은 제조업의 발전을 돕기는커녕 좀먹고 있는 꼴이다. 국회는 한국의 서비스 산업 경쟁력이 바닥권이라는 불편한 현실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제조업에 비해 일자리 창출 효과가 다섯 배나 높은 서비스 산업 육성이 지금으로선 한국 경제를 살릴 가장 효과적이며 현실적인 대안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