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자의 눈] 자산운용업 구조조정의 우선순위
입력2005-08-08 17:58:34
수정
2005.08.08 17:58:34
김광수 기자<증권부>
최근 들어 난립하고 있는 자산운용사 정리 문제가 업계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감독 당국은 퇴출시스템을 만들어 부실 운용사를 모두 정리하겠다는 단호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는 비록 증시 활황으로 자산운용사들의 수익성이 나아지고는 있지만 아직도 자본잠식 상태인 회사가 전체의 30%를 웃돌고 있어서 자산운용산업의 건전한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자산운용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시장 규모에 비해 업체 수가 지나치게 많은데다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 마땅찮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자산운용사들은 은행이나 증권사의 자회사다. 이 때문에 운용사들이 펀드를 운용해서 얻는 수익보다는 증권사나 은행이 판매의 대가로 받아가는 수익이 훨씬 크다. 특히 브랜드 네임이 약한 소형사들은 공모를 통해 개인투자자의 자금을 끌어모으기도 힘들어 기관투자가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수익성이 떨어지는 부실 자산운용사들은 막다른 골목으로 내몰리고 있다.
문제는 구조조정의 방법이다. 업계에서는 인위적인 퇴출보다는 운용사들이 자연스러운 합병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런 면에서 보자면 자산운용사의 인수합병에는 걸림돌이 많다.
우선 절차가 너무 복잡하다. 감독 당국은 “지금 제도만으로도 큰 불편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현장의 목소리는 다르다. 현재 자산운용사가 인수합병을 할 경우 주식 매입 단계와 합병한 이후 두번에 걸쳐 감독 당국의 승인을 받도록 돼 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인수합병 절차의 간소화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또 중소형사 합병 과정에서 발생하는 청산소득이나 명예퇴직금, 컨설팅 비용 등에 대한 비과세나 장기간 분납 등을 통해 합병을 유도하는 방법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런 제도들이 정비가 되면 업계에는 자연스럽게 구조조정의 바람이 불 것이다. 정부는 부실한 자산운용사를 무조건 정리하기보다는 자발적으로 ‘헤쳐 모여’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 주는 데 더 신경을 써야 한다.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