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박찬욱, 또 한번 '칸'의 선택을 받다

'박쥐' 칸 영화제 첫 심사위원장 수상<br>'올드보이'등 이어 세계 3대영화제서 3번째 본상<br>조성희 '남매의 집' 시네파운데이션 부문 3등상

영화 "박쥐"

'칸'이 또 한번 박찬욱 감독의 영화를 선택했다. '박쥐(Thirst)'가 24일(현지시간) 제62회 칸 국제영화제 시상식에서 심사위원상을 받으면서 박 감독은 2004년 '올드보이'로 심사위원대상을 받은 후 두번째로 본상을 받는 영예를 안게 됐다. 세계 3대 영화제에서는 '올드보이'와 '싸이보그지만 괜찮아'(베를린 알프레드바우어상)에 이어 3번째로 본상을 받은 것이다. 칸 영화제는 물론이고 베를린과 베니스를 포함한 세계 3대 영화제에서 한국영화가 심사위원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 감독은 "내가 아는 것이라곤 창작의 즐거움 뿐"이라며 "창작의 즐거움이 영화를 만드는 동력인 것 같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그는 앞서 이날 시상식장에 입장하며 영화제 측 리포터의 수상예상에 대한 질문에 "듣기로는 62년 칸 영화제 역사상 경쟁 부문에 초청된 최초의 뱀파이어 영화라고 하는데 그것만으로 충분히 기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올해 칸 영화제는 이미 황금종려상을 받은 감독인 쿠엔틴 타란티노, 켄 로치, 제인 캠피온, 라스 폰 트리에가 경쟁 부문에 초청되는 등 거장들의 작품 20편이 몰렸다. 실제로 경쟁 부문 초청 감독 중 칸을 처음 찾는 이는 한 명도 없을 정도였다. 이 때문에 박 감독도 지난 달 언론 시사회에서 "나란히 있는 이름들의 무게가 대단하다"며 "경쟁부문에 초청된 것 만으로도 상 받은 기분"이라고 밝힌 바 있다. 칸 영화제에서 공식 경쟁부문에 8차례 진출했던 한국영화가 본상을 받은 것은 4번째다. 한국영화는 칸에서 2002년 '취화선'(임권택)이 감독상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2004년 '올드보이'(박찬욱)가 심사위원대상, 2007년 '밀양'(이창동)이 여우주연상(전도연)을 받았다. 올해 칸 영화제에서 한국 영화는 박찬욱 감독의 '박쥐'와 봉준호 감독의 '마더' 등 역대 최다인 10편이 초청된 가운데 경쟁 부문에서 수상한 '박쥐' 외에 시네파운데이션 부문에서 조성희 감독의 '남매의 집'이 3등상을 받았다. 한편, 이번 칸 영화제는 '피'와 '어둠'이 트렌드였다는 분석이 눈길을 끌고 있다. 수상작 대부분이 피가 난무하는 영화였기 때문이다. 최고 영예인 황금종려상은 전쟁과 파시즘을 다룬 오스트리아 미카엘 하네케(67) 감독의 '하얀 리본(White Ribbon)'이 차지했고, 여우주연상은 극단적인 표현으로 충격을 던져준 덴마크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의 화제작 '안티크라이스트(Antichrist)'의 프랑스 배우 샤를롯 갱스부르(37)에게 돌아갔으며, 살상장면을 여과 없이 보여준 미국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인글로리어스 바스터즈(Inglourious Basterds)'의 오스트리아 배우 크리스토프 왈츠(52)는 남우주연상을 차지했다. 또, 토막살인의 범죄현장을 잔혹하게 그린 '키너테이(Kinatay)'의 브리얀테 멘도사 감독은 감독상을 수상했으며 안드레아 아놀드 감독의 '피쉬 탱크'는 박찬욱 감독의 '박쥐'와 심사위원상을 공동 수상했다. 독특한 작품세계··· 박쥐는 '호불호' 논란 정점 박찬욱(46)감독의 영화를 설명할 때 항상 따라붙는 단어는 '호불호(好不好)'다. 독특한 작품세계를 형성해 온 작가주의 감독으로 평가 받는 그에 대해 평단과 관객은 항상 뒤섞인 반응을 내 놓았다. 1992년 '달은 해가 꾸는 꿈'으로 데뷔 한 그의 이름을 대중에게 처음 알린 영화는 '공동경비구역 JSA'(2000). 이 영화는 583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그 해 최고 흥행작이 됐다. 박 감독의 색깔을 확실하게 대중에게 알린 작품은 '복수는 나의 것'(2002)-'올드보이'(2003)-'친절한 금자씨'(2005)로 이어지는 이른 바 '복수 3부작'이다. 이때부터 박 감독에 대한 관객의 호불호는 굳어가기 시작했고 지난 달 30일에 개봉한 '박쥐'는 그 논란의 정점에 서게 됐다. '박쥐'는 개봉 4일만에 100만 관객을 돌파하며 기대를 모았지만 파격적인 소재와 구성으로 관객들과 평론가들 사이에서 끊임없는 논란을 낳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