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날 "한중 FTA 협상 때 해외 역(逆)직구 수요를 고려해 중국 측에 200달러 이하 특송화물의 관세를 면제하자고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는 협상 초기부터 한미 FTA의 특송화물 면세 수준인 200달러 이하 면세제도 도입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우리 정부가 한중 FTA의 주요 전략으로 세운 중국의 온라인 역직구 활성화를 염두에 뒀기 때문이다. 특송화물면세제도 도입이 무산되면서 역직구 활성화는 시작부터 암초에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현재처럼 관세액 50위안(8,700원) 이하인 제품만 면세한다. 관세율을 10%로 가정하면 중국 소비자가 8만7,000원이 넘는 우리 제품을 역직구하면 관세를 문다. 우리도 기존대로 중국에서 100달러 이상의 물품을 사면 평균 8%의 관세를 부과한다.
금융 부문에서 기대했던 것들도 타결로 이끌지는 못했다. 국내 은행의 위안화 예금을 중국 현지 지점에서 대출로 활용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금융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중국 측이 최근 위안화 예금의 활용과 관련해 불가하다는 입장을 전달해 두달여 동안 진행됐던 추가 협상은 결국 결렬됐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에 진출한 중국 금융회사들의 적극적인 요구로 중국 금융당국은 전향적인 입장이었지만 인민은행이 위안화 관리에 난색을 표했다"면서 "인민은행을 중심으로 자본시장 개방을 위한 중장기적 로드맵을 만들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만 특혜를 주기는 부담스러운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세종=구경우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