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핵실험 우려가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다음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직을 수행할 김숙(사진) 유엔 주재대사는 "이사국 때보다 북한 문제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북한의 추가도발이 있으면 이사국들과 논의해 반드시 구체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겠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국제 평화 유지와 안전에 일차적인 책임을 지는 안보리를 대표하는 의장국은 15개 이사국들의 알파벳 순서에 따라 결정되며 임기는 1개월이다. 한국은 내년 4~5월께 한 번 더 의장국을 맡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오는 12월 5개 비상임 이사국이 교체되면 한국의 안보리 이사국 순서가 다시 결정된다.
이날 김 대사는 뉴욕특파원들과 간담회에서 한국의 안보리 의장국 수임이 북한의 핵실험에 미칠 영향에 대해 "(추가 핵실험 여부는) 북한 내부의 정치적 판단이 더 큰 고려 요인이 될 것"이라면서 "안보리 결의 2087호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추가도발을 한다면 의장국으로서의 역할과 한국 정부의 입장에 차질이 없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사는 의장으로서 다음달 4일 안보리 회의를 첫 소집한다. 안보리 의사 규칙에 따르면 의장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언제든지 안보리회의를 소집하고 회의를 주재한다. 따라서 만약 북한이 3차 핵실험을 강행하면 한국은 안보리를 즉각 소집해 대북 제재 논의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게 된다.
김 대사는 또 북한의 도발에 대한 안보리 제재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제재의 목적은 북한의 핵ㆍ미사일 개발을 저지하고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성원으로 나오도록 하는 것"이라면서 "(제재의 효과가) 미흡하다는 이유로 북한의 불법적인 행위를 외면할 수 없고 대량살상무기(WMD) 개발에 필요한 장비ㆍ기술 자금의 유입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안보리 의장국은 또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의제를 선정해 유엔에서 중점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데 한국의 경우 무력 분쟁에서의 민간인 보호를 의제로 선정했다. 이 회의는 다음달 12일 열리며 김성환 외교부장관이 주재한다. 김 대사는 "국제법 등에 따른 회원국의 책임 강화, 평화유지활동(PKO)의 보호·책임 역할 제고, 의료진·여성·아동 보호 강화 등을 논의할 계획"이라면서 "특히 조직적인 폭력에 시달리는 아프리카의 여성과 소녀들에 대한 보호가 강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