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강자인 신세계와 롯데도 정보기술(IT) 자회사를 통하거나 독자적인 방식으로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텔레콤 등 이동통신사도 대열에 합류했다. 신성장동력인 핀테크에 국내 기업들이 적극 동참하는 것은 환영할 일이다. 핀테크는 기업생존에 있어 선택이 아니라 필수 조건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간편결제 한 분야로의 쏠림현상이 심하다는 것이다. 컨설팅 업체인 액센츄어에 따르면 핀테크 사업영역 중 지급결제 투자비중은 2008년 70%에 달했으나 2010년 50%에 이어 2013년에는 28%까지 떨어졌다. 대신 금융데이터 분석이나 금융소프트웨어 분야로 무게중심이 이동 중이다. 새로운 금융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대출중개나 보험·자산관리 등이 실제 사업모델로 등장하고 있을 정도다.
사정이 이런데도 기업들이 단기 수익을 낼 수 있는 간편결제에만 매달리는 것은 지속 가능한 경쟁력 확보에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지 않아도 국내 핀테크 시장은 초기 단계여서 미국·영국 등 핀테크 선진국에 비해 최소한 3~4년 뒤떨어진 실정이다. 격차를 따라잡기는커녕 더 벌어질 판이다. 국내 기업들이 금융소프트웨어 등 비중이 커지는 사업에 진입할 수 있도록 금융규제를 완화하는 것이 시급하다. 금산분리 규제도 예외가 아닐 것이다. 국경을 초월한 금융서비스가 이뤄지는 열린 시대에 오프라인 관점의 낡은 규제에만 매달려서는 핀테크 강국이 될 수 없다. 대형사 간의 결합을 넘어 핀테크 관련 창업기업을 키울 필요도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