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준농림제 폐지] "제2IMF오나" 연쇄도산 우려

[준농림제 폐지] "제2IMF오나" 연쇄도산 우려준농림지 150만평 보유 1조 묶여 「제2의 IMF가 왔다」. 서울시를 비롯한 수도권 지자체들의 도시계획조례 제·개정 방침에 이어 준농림지 폐지라는 메가톤급 「악재」가 터지자 주택업계에는 위기감이 팽배해있다. 중소주택업체들 사이에서는 400여개 건설업체가 도산한 98년의 악몽이 재연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분양·자금·용지난의 「3중고」를 겪고있는 주택업계는 수도권일대에서 아파트건립을 극히 제한하는 일련의 조치로 인해 주택수급이 차질을 빚게 되면 업계는 물론 결과적으로 국민도 피해를 보게된다며 정부차원의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준농림지에만 1조원 묶인다=현재 건설업체들이 수도권일대에서 보유하고 있는 준농림지는 최소 150만평에 달할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최근 수년간 아파트분양이 활발했던 용인과 고양·파주일대에만 60만~70만평, 나머지 수도권에서 70만~80만평에 달할 것이란 얘기다. 평당 70만원씩만 잡아도 땅값이 1조원을 넘는다. 중견업체인 동문건설 관계자는 『현재 사업승인을 받지못한 준농림지는 앞으로 3~4년간 사업을 할 수없고 팔 수도 없는 애물단지가 될 것』이라며 『상당수 업체들이 자금난을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 ◇운영자금 허덕=주택업체들이 제도권 금융을 이용해 자금을 조달하기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은행대출이나 증자는 고사하고 회사채도 삼성·LG등 일부 대형업체만 시장에서 받아주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중소업체들은 운영자금등을 구하기위해 사채시장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지만 사채금리가 월 2.5%(연 30%)까지 치솟아 큰 부담이 되고있다. 현대산업개발 재정팀 황순종차장은 『대부분의 건설업체들이 한계상황을 맞았다』며 『자금경색이 한달만 더 지속된다면 흑자도산하는 업체도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분양시장도 한랭전선=올들어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지역의 분양시장은 한랭전선이다. 지난해 최고 인기지역이었던 용인도 올해 공급된 7,000여가구중 절반정도인 3,000~3,500가구가 미분양으로 남아있다. 또 용인 대체지역으로 떠올랐던 경기 광주지역도 최근 대형 K사가 분양한 476가구 아파트의 경우 청약자가 2명에 그쳤으며 D사의 안산 고잔지구 아파트도 1,000여가구에 100여명만이 청약하는 최악의 시장상황을 연출했다. 중소업체들은 아예 분양할 엄두조차 내지못하고 있다. 대한주택건설사업협회3,007개 회원사중 올해 단 1개단지라도 분양한 업체는 90개(5월말 기준)에 불과하다. 이는 IMF가 한창이던 98년에도 211개사가 사업을 벌였던 점에 비춰볼 때 중소형사들이 얼마나 위축돼 있는지를 보여준다. ◇숨통은 터줘야=지난해 수도권 준농림지에서 공급된 아파트는 5만여가구로 경기도 전체 공급량 13만여가구의 41%에 해당한다. 준농림지 폐지로 인해 내년부터 연간 5만여가구의 아파트 공급이 줄게될 것이란 분석이다. 공급감소는 집값 상승과 주택난으로 연결될 수 밖에 없다는게 주택업체들의 분석이다. 대한주택건설사업협회 최기국(崔奇局)상무는 『난개발 방지등 정부의 정책목표는 인정한다』면서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택지확보방안을 정부에서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중소업체들의 자금난을 덜어주기위해서는 중소업체라도 사업타당성이 있으면 자금지원을 받을 수있는 프로젝트 파이낸싱 도입도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학인기자LEEJK@SED.CO.KR 입력시간 2000/06/02 19:24 ◀ 이전화면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