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분양가를 최고 25~30% 낮추겠다는 정부의 발표 이후 연말 분양을 앞둔 수도권의 주요 지방공사들이 분양가 책정에 고심하고 있다. 지금까지 ‘공기업이 오히려 고분양가를 부추긴다’는 비판에 시달릴 만큼 주택사업에서 적지않은 이윤을 남겨왔지만 지금부터는 분양가 인하라는 전방위적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 이에 따라 지방공사들이 분양하는 송도ㆍ용인 등 유망 지역의 분양가도 주변시세의 70~80% 수준으로 내려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5일 수도권 지방공사들에 따르면 인천 도시개발공사는 이달 중순께 분양 예정인 인천 송도 신도시 4공구 ‘웰카운티 4단지’의 분양가를 얼마나 끌어내릴지 여부를 두고 최종 조율을 거듭하고 있다. 앞서 분양했던 단지와의 형평성을 고려하면 마냥 낮추기도 힘들지만 중앙정부의 강력한 의지나 외부의 시선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형편이다. 공사의 한 관계자는 “분양가를 내린다고는 해도 이전 분양가에서 고무줄 늘어나듯 크게 왔다갔다할 수는 없다”며 “정부의 시책과 사회적 분위기를 충분히 감안, 합리적 수준에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공사 안팎에서는 주변 시세의 70~80%를 기준으로 분양가가 결정돼 중소형인 33평형은 평당 900만~1,000만원, 중대형은 평당 1,200만원 안팎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송도 신도시를 포함한 경제자유구역에서 앞으로 공급되는 택지는 ‘11ㆍ15 대책’을 통해 모두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도록 했지만 규정이 바뀌기 이전 사업지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분양가 규제 장치가 없다. 도시개발공사가 분양가를 저렴하게 결정할 경우 내년 초까지 송도에 공급될 민영아파트 2,000여가구의 분양가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포스트 판교’의 대표주자로 꼽혀온 용인 흥덕지구에서 12월 중순부터 분양에 나서는 경기지방공사와 용인지방공사도 분양가 책정에 골머리를 앓긴 마찬가지다. 흥덕지구 중소형 아파트는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지만 택지비와 이자비용, 지하층 건축비, 가산비용 등의 산정에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다는 게 고민의 원인이다. 용적률 190%를 반영한 택지비 원가는 경기지방공사가 평당 398만원, 용인지방공사가 402만원 수준이다. 여기에 판교, 시흥 능곡지구의 전례대로 건축비와 기타비용 합계 480만~500만원을 더하면 인근 수원 영통지구 시세의 75~80% 수준인 평당 900만~950만원선에서 분양할 수 있다. 경기지방공사의 한 관계자는 “요즘 분위기가 분위기다 보니 분양가 결정에 한층 신중을 기하고 있다”며 “민간업체들의 분양가를 참고해 저렴하게 책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