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체 발전소 이용률이 60%대 초반을 기록해 2000년대 들어 최저치로 떨어졌다.
특히 친환경적으로 알려진 액화천연가스(LNG) 복합발전소 이용률은 4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석탄발전은 저렴한 발전 단가 탓에 이용률이 90%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한국전력이 최근 발표한 ‘한국전력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전체 발전소 이용률은 전년보다 2.2%포인트 하락한 61.7%였다. 발전소 10기 중 4기는 가동하지 않은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용률은 가동률과 달리 고장·정비 등으로 발전소를 가동할 수 없는 상황까지 포함해 발전소를 가동한 비율을 뜻한다.
지난 2000년 62.2%였던 발전소 이용률은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리다가 2011년 73.9%로 정점을 찍은 뒤 급격히 낮아지고 있다.
2011년 이후 연평균 4.6%포인트씩 하락하다 지난해 급기야 1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최근 3년간 발전소 이용률을 발전원별로 나눠 보면 원자력발전소는 2013년 75.5%, 2014년 85.0%, 2015년 85.3%로 증가했고 석탄발전소는 같은 기간 93.6%, 88.5%, 90.1%의 흐름을 보였다. 반면 LNG 복합발전소는 이 기간 이용률이 67.0%, 46.7%, 40.3%로 크게 낮아졌다. 사실상 LNG 복합발전소의 이용률 하락이 전체 이용률 하락을 이끈 셈이다.
이처럼 환경 저해 논란이 큰 석탄발전소는 많이 가동되고 상대적으로 친환경적인 LNG 복합발전소는 점점 이용률이 떨어지는 것은 발전 원가가 싼 발전소부터 가동하게 돼 있는 전력시장 구조 때문이다.
한국전력은 연료비가 싼 원자력이나 석탄을 이용해 생산한 전기를 우선 구매한다. 원자력·석탄발전소가 발전시장에 새로 진입하면 LNG 발전소 이용률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발전 비용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어서 당분간은 이런 구조가 개선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상훈기자 shle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