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돌이켜 생각해보면 채권단이나 정부 입장에서는 조양호 회장이 경영권을 포기하고 추가 자금을 지원해서 채권단이 한진해운을 떠안게 됐다면 부담이 더 컸을 것”이라고 말했다. 물류 대란 등의 혼란은 있었지만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결정이 바람직했다는 것이다. 지난 1월 기자간담회에서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한진해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오는 2020년까지 4조원이 넘는 자금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세계 7위의 해운사는 허상에 불과했다”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결정 한 달 후인 지난해 10월, 정부는 총 6조5,000억원을 들여 해운업의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선언했다. 핵심은 △선박신조 지원 △선박인수 및 용선 △항만 인수 지원 등을 제공해 하나 남은 국적 선사인 현대상선의 몸집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해운업계는 물론 전문가들도 한진해운을 살리는 게 바람직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비용 측면에서만 봐도 잘못된 선택일 뿐더러 6조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해 현대상선을 키우더라도 한진해운이 40년 동안 쌓아 온 글로벌 네트워크를 회복하기는 사실상 어렵기 때문이다.
한진해운은 이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과연 현대상선에 대한 지원으로 국내 해운업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을까. 전문가들은 현대상선의 외형 확대와 더불어 제2, 제3의 대형 국적선사가 탄생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양창호 해양수산개발원장은 “해운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것은 결국은 국적선사의 선복량을 회복시키는 작업인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며 “현대상선뿐 아니라 중소형 선사들 역시 중장기적으로 몸집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민규기자 cmk25@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