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형 전원의 일종인 집단 에너지 열병합발전 시설이 미세먼지 저감 대책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창호(사진) 한국전기연구원 연구위원은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기후변화센터(이사장 한덕수)와 장병완 국민의당 의원실이 ‘열병합발전의 온실가스 및 미세먼지 저감 효과와 국가 에너지믹스에서의 역할’을 주제로 개최한 세미나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분산형 전원은 대도시 등 전력 수요지 인근에서 전기를 생산해 바로 소비하는 전력공급 시스템을 말한다. 수요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건설되는 화력·원자력 발전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또 열병합발전은 액화천연가스(LNG)나 폐기물 등을 이용해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공급하는 발전 방식이어서 에너지 이용 효율성이 높다.
이 연구위원은 세미나에서 “열병합발전은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편익을 제공할 뿐 아니라 초고압의 대규모 송전선로 건설, 송전탑 건설에 따른 보상 등 사회적 갈등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열병합발전은 분산형 전원으로 설비·환경 편익 등을 제공하는 만큼 이의 활성화를 위해 시장제도 개선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정순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열병합발전은 환경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과 대기오염 방지의 편익을 제공하고 경제적으로는 연료 비용과 전력구매 비용, 난방시설 대체 비용 등의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고 말했다. 박 위원은 또 “분산형 전원이기 때문에 정전 리스크를 낮추는 편익도 제공한다”며 “이런 장점 때문에 유럽연합(EU)은 열병합발전의 비중을 지난 2013년 12%에서 오는 2030년까지 20%로 높일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이와 관련해 열병합발전 업계의 관계자는 “지난해 36개의 집단에너지 사업자 중 24곳이 적자를 봤다”며 “대표적 친환경 에너지원인 열병합발전이 구조적 문제로 생존의 위협을 받는 일이 없도록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형윤기자 mani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