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2년까지 5년간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 인재 5만여명을 육성하고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일자리 26만개를 만든다는 목표를 세웠다. 4차산업혁명이 산업과 일상 속으로 본격적으로 파고들면서 글로벌 기업들 간의 경쟁이 한층 격화되고 있지만 정작 우리나라의 경우 인공지능(AI)이나 빅데이터 등에서 쓸만한 인재가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높아 앞으로 이 같은 인력 수급난이 얼마나 해소될지 관심이다.
과기정통부는 12일 열린 제4차 일자리위원회 회의에서 ‘과학기술·ICT 기반 일자리 창출방안’을 보고했다. 과기정통부는 2022년까지 연구산업 1만2,000개, 실험실 일자리 1만개, 무인이동체 2만7,900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또 2020년까지 과학기술·ICT 분야에서 20만명 이상의 고급인재가 부족할 것으로 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상반기에 미래직업예측 모델도 개발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우선 대학 ICT 연구센터 확대와 지능정보특성화 대학원 신설 등을 통해 AI 등 지능정보 분야 고급 인력 6,000명을 키운다. 소프트웨어(SW)중심대학을 올해 20개에서 2019년 30개로 늘리는 등 핵심 SW 인재도 2만명가량 확보할 방침이다. 사이버보안 전문가도 산학협력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정보보호대학원을 신설해 1만명 육성하기로 했다. 나노기술 고급인력도 6개 나노팹을 활용한 교육 확대 등으로 매년 800명씩 배출할 계획이다. 바이오 연구개발(R&D) 인력과 바이오 기술·투자 전문가 양성에도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과기특성화대가 만드는 4차산업혁명 콘텐츠도 온라인 플랫폼(가칭 ‘Star-Mooc’)에 공개하기로 했다.
특히 과기정통부는 연구산업, 실험실 일자리, 무인이동체 등에서 2022년까지 26만개의 ICT·과학기술 기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황판식 과기정통부 미래인재정책과장은 “2020년까지 과학기술·ICT 분야에서 20만명 이상의 고급인재가 부족할 것으로 보고 내년 상반기 미래직업예측 모델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중 대학과 연구소 등의 강소특구 모델을 도입해 연구소기업을 대폭 늘리고 글로벌 기업과의 파트너십도 지원하기로 했다. R&D 사업화 단계에서 납부해야 하는 기술료도 우수 연구인력을 추가 채용하면 감면할 방침이다.
학생연구원 권익 보호에도 나서고 출연연 박사후연구원을 대상으로 과제기반 테뉴어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여성 과학기술인이 육아휴직 하면 대체인력을 지원하고 경력 복귀도 돕기로 했다. 협동조합 등 과학기술기반 사회적 일자리도 키우기로 했다. 이 밖에 R&D 예산을 지원할 때 일자리 지표를 확대하고 유료방송 인허가 시에도 일자리 요소를 반영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융합법 개정안 등의 국회 통과에 나서 신산업·지역일자리 분야에 네거티브 규제원칙을 도입한다는 방침도 재확인했다. 신산업에 대한 예산 지원도 확대한다. AI 제품·서비스 핵심요소기술(언어지능·시각지능 등)과 원천기술(차세대학습·추론 등) 개발에 올해부터 2023년까지 1,278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내년에는 빅데이터센터 3곳을 만들고 클라우드 시범지구도 조성할 계획이다.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4차산업혁명 시대 핵심인력 육성과 일자리 창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