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서비스가 민주노총 금속노조 삼성전자서비스지회 소속 용역업체 직원 8,000여명을 직접 고용하기로 하면서 삼성의 무노조 경영 원칙이 사실상 깨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전자를 제외한 삼성 계열사들에도 노조 세력이 확대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럴 경우 삼성 특유의 인사·조직 관리를 통한 스피드 경영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다만 계열사마다 환경이 다르다는 점에서 노조 확대 전망에 대해서는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17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 계열사 가운데 노조가 조직된 곳은 전자서비스를 비롯해 총 8곳이다. 전신인 동방생명 시절이던 지난 1962년 노조가 조직된 삼성생명 외에 삼성증권·삼성물산 에버랜드·삼성SDI·삼성엔지니어링·삼성웰스토리·에스원에 노조가 설립돼 있다. 삼성웰스토리와 에스원은 복수노조 체제여서 실제 노조 조직은 총 10개다. 규모가 대개 수십 명 수준에 그치고 활동도 미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열사의 한 관계자는 “노조가 조직돼 있기는 하지만 유명무실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전자서비스의 협력사 직원 직접고용 방침으로 계열사의 노조활동이 확산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박지순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삼성의 아웃소싱 시스템에 변화가 나타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단 전자서비스는 협력사 직원 직접고용을 통한 서비스의 질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다만 기존 직원 1,200명 수준에서 8,000여명을 추가로 고용하게 돼 비용 부담이 크다는 게 문제다. 이와 유사한 사례가 여타 계열사에서 나올 경우 삼성 특유의 효율적 인력 운용과 고용 형태의 유연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법원이 전자서비스 노조가 제기한 근로자 지위 확인 소송에서 적법한 도급이라고 결론을 내린 상황임에도 이런 결정을 한 것은 경제적 이슈를 정치적 논리로 풀어버리는 결과가 돼 안타깝다”며 “중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재영기자 jyha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