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회 심의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제2차 보건의료기술 육성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2020년부터 9년 동안 치매 연구개발 기술에 1조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치매극복 연구개발 사업‘이 추진된다.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내달 중 예비타당성 조사에 들어가 본격적인 사업에 나선다.
정부는 보건의료기술에 대한 투자가 계획대로 이뤄지면 오는 2022년까지 국민 건강수명을 76세로 늘리고 관련 분야 일자리 10만개를 추가로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 현재 보건의료 분야 일자리는 17만개 수준이며 2015년 기준 국민 건강수명은 73.2세다.
보건의료 분야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빅데이터 활용을 위해 공공기관의 데이터부터 연구자에게 개방한다. 보건의료 데이터를 연구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 빅데이터 특별법’(가칭) 제정도 검토할 계획이다. 또 신약 개발을 앞당기기 위해 ‘첨단 재생의료 및 바이오의약품에 관한 법률’(가칭)을 마련해 글로벌 수준의 임상시험과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에도 인력과 예산을 투입한다.
국가기술자문회의 관계자는 “지금까지 주로 전문가 중심의 연구개발 정책이 만들어졌다면 이번에는 과학기술이 국민의 삶에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고려했다”며 “여러 부처에서 각각 진행하고 있는 신약 및 의료기기 연구개발 사업을 범부처 사업으로 개편하고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의 정보통신기술(ICT)도 접목시켜 효율성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지성기자 engin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