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머니+ 김동하의 머니테인먼트]'광고 공세' 헐리웃 직배사에 스크린 대거 배정...한국 배급사 타격

외화 전성시대와 한국영화의 위기

<중> 극장 광고료 탐내다 날아온 부메랑

최대 광고 매출·거래처 헐리웃 직배사, 개봉 전부터 스크린 확보

국내 배급사, 극장 할인쿠폰 등으로 받야할 돈 깎여도 항의 못해

극장,영화계서 돈 잘버는 '갑'이지만 과잉 투자로 주가는 폭락





보헤미안 랩소디가 기어이 관객 1,000만을 돌파할 기세다. 지난해 말 한국 영화 대작들과 한판 승부를 벌인 아쿠아맨도 500만을 넘었다.

각각 약 140억원의 제작비를 들인 ‘한국형 블록버스터’ PMC(CJ, 167만)와 마약왕(쇼박스, 186만), 스윙키즈(NEW, 147만)의 관객수를 모두 합해도 500만을 못 넘었으니 분명 외화의 전성시대라 할 만하다.

물론 외화의 퀄리티가 높은 탓에 관객들의 취향이 폭발했다는 데 이견을 내세울 순 없다. 하지만 이 같은 현상을 문화적 수요로만 설명할 수는 없을 것 같다. 그 안에는 너무도 명확한 비즈니스적인 원인, 바로 극장의 선택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 극장들의 행태를 보면 앞으로도 이런 헐리웃 의존도는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어 보인다.

일례로 보헤미안 랩소디가 1,000만을 목전에 두자 헐리웃 직배사인 20세기폭스와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는 티켓 ‘1+1’ 행사와 장당 7,000원 등 는 제살깎기 가격 프로모션을 통해 1,000만 관객 만들기에 동참하고 있다. 이유는 뭘까. 그만큼 쏟아지는 한국영화들의 개봉관은 줄어들텐데 말이다.

비싼 관 확보+광고비 집행하면 예매율도 높아져

‘보헤미안 랩소디 싱얼롱 1만4000원, 아쿠아맨 4DX 1만8000원’

대부분의 헐리웃 직배사 영화들은 예매율부터 높게 출발한다. 극장 입장에서는 이처럼 평균 1만원보다 비싼 관을 열 수 있기 때문에 개봉 훨씬 전부터 예매를 할 수 있도록 관을 배정한다. 대조적으로 중소 한국영화의 경우 개봉 당일에나 스크린 배정이 확정되는 경우도 많다.

무엇보다도 직배사는 상대적으로 적은 부담으로 광고 물량공세를 할 수 있다. 한국영화는 순제작비(영화가 만들어지는데 들어간 비용)와 P&A(배급, 광고, 홍보비용)를 모두 회수해야 하지만 직배사 영화는 국내에서 P&A 비용만 회수하고 미국 본사에 나머지 매출만 보내주면 되기 때문이다.

극장들에게 직배사는 가장 큰 광고매출처이자 중요한 거래처다. 직배사가 TV나 다른 광고보다 점점 극장 광고를 많이 하는 이유도 극장에 하는 광고가 스크린 확보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수익에 목마른 극장은 10분간의 상영 전 광고는 물론이고 시사회, 스크린 광고, 복도·벽·기둥 등 오프라인광고, SNS 광고 등 극장 이름을 걸고 광고상품을 점점 늘리고 있다. 제작사가 만든 영화로 CGV와 롯데, 메가박스의 플랫폼을 광고하고 또 그 플랫폼에서 홍보를 해 주는 대가로 제작(배급)사로부터 돈을 받는 형태다.

대다수 국내 배급사 관계자들은 극장에 집행하는 광고가 스크린 확보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입을 모은다. 광고비를 많이 쓰고 시사회를 성대하게 여는(시사회 대관의 경우, 배급사가 전 석을 사는 구조다) 영화일수록 스크린을 많이 잡아주는 건 인지상정이기 때문이다.



일찌감치 예매 스크린을 확보하면 초기 흥행으로 이어지고, 입소문을 타면 장기 흥행으로 이어진다. 많은 사람들이 영화 예매율을 ‘시장원리’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론 관객 수요보다 극장들이 얼마나 예매관을 열어주느냐가 중요한 ‘공급자’ 주도의 시장이다.

국내 멀티플렉스의 경우, 보통 한 극장에 8개에서 많게는 스크린이 22개까지 있지만, 피크타임인 저녁 시간에는 대부분 3-4개 영화만 볼 수 있다. 마치 메뉴가 많은 중국집에서 점심 저녁 때는 짜장 짬뽕 볶음밥 탕수육 정도만 팔고, 손님이 뜸한 시간에만 다른 메뉴들을 제공하는 것처럼 말이다.

또 다른 문제는 이른바 부율이라 불리는 극장과 배급(투자 제작 진영 포함)사와의 분배율 문제다. 한국 배급사들과는 어느 정도 가이드라인이 형성돼 있지만 헐리웃 직배사와 극장의 분배율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극장이 국내 배급사 동의 없이 무료 초대권이나 할인쿠폰을 나눠주면서 배급사에 주는 돈을 깎더라도 극장에 직접 어필하기 어렵다. 하물며 SOUND X, 4DX 등 극장별로 시설투자가 된 특화관 등 비싼 관에 관객들이 들어도, 극장들은 자기들의 시설투자 요금을 선공제하고 배급사들에게 일반관의 요금으로 분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극장, 가장 잘 버는 갑이지만 주가 폭락

2017년 한국 영화계는 연간 약 3,000억원을 벌었지만 투자배급업계는 손해를 봤다. 그 이익 중 대부분은 극장이 가져갔고, 이는 곧 영화계의 입장료 배분구조가 극장 쪽으로 쏠려 있다는 얘기다.

극장과 배급을 같이 하는 대기업 진영에서도 불만이 쏟아진다. 그룹 차원에서 극장의 수익은 영화 티켓 한 장당 50%인 5,000원이지만, 투자배급사는 입장료의 약 5%인 수수료와 투자한 만큼의 지분율만 있으므로 극장보다는 훨씬 비중이 낮다. 그룹차원에서 극장과 배급사의 이해상충이 걸릴 경우 어느 쪽 손을 들어주겠는가.

하지만 아이러니한 건 정작 극장은 과잉투자로 성장성에 위협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 관객들이 세계 2위 수준인 연간 4.2회나 극장을 찾고 있지만 CJ CGV의 주가는 3년 전 14만1,500원에서 현재 4만원 아래로 70%이상 떨어졌다. 멀티플렉스 3사의 점유율은 98%로, 5,000개 넘는 스크린을 보유한 극장들. 하지만 여느 개발단지나 쇼핑몰에 겹쳐 입점하면서 과당경쟁으로 수익성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 영화의 위기 극복을 위해 유통 진영의 극장과 제작 진영의 투자배급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부가가치를 일으켜야 할 때인데, 그나마도 작은 투자배급업계의 파이를 헐리웃 직배사들에게 더 많이 빼앗기고 있다.

최근 각 극장들은 광고단가를 더 올리고, 새로운 광고모델을 제시하는데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럴수록 투자배급진영의 비용증가는 커져 수익률은 악화될 것이고, 직배사들의 장악력은 더욱 거세질 것이다. 한국 영화의 위상을 높인 건, 관객들의 관람료였는데, 해외로 빠져나가는 돈이 과거에 비해 너무 많아질까 우려스럽다. 3월에는 캡틴마블이, 4월이면 어벤져스가 온다. 국내 극장들은 과연 며칠 전부터 예매를 열어줄까. /<한성대 융복합과정 교수·성북창업센터 센터장>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