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분야 글로벌 기업인 엠코테크놀로지코리아에는 장애인 직원 134명이 근무한다. 2년 전만 해도 4,500여명의 전체 직원 중 장애인은 찾기 힘들었다. 하지만 지난해 컨설팅을 받고 장애인 고용을 위한 직무를 개발해 단계적으로 고용에 나서면 분위기가 180도 바뀌었다. 발달 장애인, 지체장애인 등 중증 장애인들을 주로 채용해 시설 청소 업무를 맡기고 있다. 현재 계약직 신분이지만 1~2년 고용 후 정규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아직 장애인 의무고용 인원(140명)에는 부족하지만 점차 고용을 늘려나가 올해 기준을 충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엠테크놀로지코리아와 같은 사례들이 더 많이 나오기 위해서는 벌금 위주의 ‘채찍’보다 세제혜택 등 ‘당근’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입을 모았다.
지난해 장애인 고용부담금이 징수된 기업은 총 9,149개로 부담금만 5,521억원이었다. 2016년 7,877개의 회사가 4,347억원 부담금이 징수된 데서 증가했다. 의무고용률, 최저임금이 해마다 증가한 측면도 있지만 상당수 기업이 장애인 고용에 소극적인 탓이 크다.
익명을 요청한 기업의 한 관계자는 “장애인 의무 고용률을 지키기 위해 매년 조금이라도 장애인 고용을 늘린 기업에 부담금을 인하해주는 식의 혜택이 필요하다”며 “지금과 같이 미고용인원수에 따라 일률적으로 부과하는 식으로는 기업이 장애인 고용에 나설 이유를 못 느낀다”고 말했다.
정부가 장애인 고용에 적극적인 기업을 알리는 데 주력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한국장애인고용안정협회에서는 ‘한국형 DEI 지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DEI 지수는 경제잡지인 포춘지에서 선정한 미국의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장애인 고용정책, 접근성, 문화적 다양성, 지역사회 통합 및 지원 서비스 등을 측정해 점수화한 지수다. DEI 지수가 높을수록 기업 이미지가 좋고 제품 판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주형 나사렛대학교 인간재활학과 교수는 “장애인은 일할 능력이 없다는 인식 때문에 특히 대기업에서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고 있다”며 “대기업일수록 장기적인 기업 가치, 기업 이미지를 고려해 장애인 고용에 적극 나설 수 있도록 세제혜택 등의 정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영기자 jik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