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금 유용 논란에 휘말린 정의기억연대가 할머니들에게 후원금의 41%를 지급했다는 해명을 내놓았다. 인권·명예회복, 건강치료, 쉼터 운영 등 간접지원으로 피해자 지원 방식을 다양화했다는 것이지만 불투명한 회계 처리나 기부금 수혜인원 등에 대해 명확한 해명을 내놓지 않아 논란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정의연은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인권재단 사람’에서 기부금 유용 의혹 해소를 위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앞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는 7일 대구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의연이 성금·기금을 받아 할머니들에게 쓴 적이 없다’, ‘성금이 어디에 쓰였는지 모르겠다’고 주장해 파문이 일었다.
기자회견의 주된 내용도 논란이 된 기부금에 초점이 맞춰졌다. 정의연의 주장은 사용처가 지정된 ‘목적기금 기부금’을 제외하고 최근 3년 동안 일반 기부수입으로 받은 22억 1,900만 원 중 41%인 9억 1,100만 원을 할머니들에게 직접 줬다는 것이다. 한경희 정의연 사무총장은 “피해자 지원사업은 후원금을 모아 할머니들께 전달하는 사업만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할머니들에게 전달한 돈 외 다른 금액은 직접 지원이 아닌 인권·명예회복을 위한 예산 등 다양한 간접 지원방식으로 사용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부금 수혜 인원 오류 등 정의연이 회계 처리에서 잘못을 인정한 점도 있어 해명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다소 의문이 남는다. 정의연은 국세청 회계 공시자료에서 지출 내역 중 수혜자 규모를 ‘99명’, ‘999명’, ‘9,999명’ 등 구체적이지 않은 숫자로 기술했는데 이에 대해 미진한 부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 사무총장은 “부족한 인력으로 사업을 진행하면서 내부 회계와 건수를 나누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실제 기부금 수혜인원이 몇 명인지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
이날 회견에서 제대로 해명되지 않은 내용도 있다. 앞서 이 할머니는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인(당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이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때 10억 엔이 일본에서 들어온다는 사실을 미리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상희 정의연 이사는 “윤 전 대표가 (외교부에게) 어떤 연락을 받았는지는 모르지만 현장에서 공유했던 것은 언론 내용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정의연과 할머니들은 한일합의 발표날에서야 관련 사실을 알았지만 윤 당선인도 같은 상황이었는지는 모른다는 의미다. 위안부 합의에 따른 일본 정부 지원금을 윤 당선인이 사전에 파악해 할머니들이 수령하지 않도록 종용했다는 의혹에 대해 나름의 해명을 내놓은 것이다. 여기에 더해 한 사무총장은 “윤 전 대표는 굉장히 적은 인건비로 활동을 30년 간 지속하며 개인적으로 받은 강연비도 정의연에 기부한 사람”이라며 윤 당선인을 적극 변호했다. /이경운·김태영 기자 cloud@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