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가전시장의 새로운 큰 손, ‘게이머님’ 나가신다

'코로나 특수'로 게이밍 모니터 시장 승승장구

시장 조사기관들 "하반기도 성장 계속될 듯"

삼성·LG '타깃공략' 잰걸음…톡톡 튀는 협업도

"전용 모니터 패널서 TV까지 후끈"

/사진=이미지투데이




‘이보다 좋을 수는 없다.’ 게이밍 모니터 시장이 모처럼의 훈풍에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국내 주요 가전업체들은 특수를 잡기 위해 신제품 출시와 적극적인 마케팅 등을 선보이고 나섰다.

6일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게이밍 모니터 패널 시장의 규모는 1,210만대로 점쳐진다. 출하량 기준으로 지난해에 비해 37%나 뛰어오른 결과다. 또 다른 시장조사기관 옴디아도 2019년 약 930만대에 그쳤던 게이밍모니터 패널시장이 오는 2022년까지 최소 1,200만대를 출하하며 30% 이상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스타티스타 역시 지난해 850만대 정도였던 출하량이 1,100만대까지 크게 뛰어 오른다고 예상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소비위축 현상이 극심한 상황에도 혼자만의 공간에서 고사양 게이밍 모니터를 즐기려는 게이머들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 이들 기관이 감안한 ‘특수’로 꼽힌다. 하반기에는 소니와 마이크로소프트(MS)가 각각 플레이스테이션과 엑스박스 신형을 내놓으며 가정용 콘솔게임기에 대한 소비자 관심을 끌어올릴 예정이란 점에서 이 같은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컵 아티스트 김수민씨가 삼성전자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G9를 모티브로 한 작품을 만들고 있다./유튜브 캡쳐




소비자와 직접 만나는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타깃층 공략에 여념이 없다. 게임 구동 시 몰입감이 뛰어나다고 평가받는 커브드 모니터를 앞세우고 있는 삼성전자는 최근 1000R 곡률을 적용한 ‘오디세이 G7(32형)’과 성능을 끌어올린 ‘오디세이 G9(49형)’을 잇따라 국내에 선보였다. 이 제품을 널리 알리기 위해 삼성전자는 밀레니얼 세대가 선호하는 컵아티스트 김수민씨와 손잡고 마케팅 영상을 제작하기도 했다. ‘게이밍 모니터는 편평하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게이머들의 관심을 끌겠다는 계획으로 이 영상을 제작한 삼성전자는 10여 일 만에 9만회가 넘는 유튜브 조회수를 기록하며 입소문을 탔다. 특정 스포츠팀에 충성도가 높은 게이머들을 공략하기 위해 글로벌 e스포츠 전문기업 SK텔레콤 CS T1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LG전자 모델이 서울 LG전자 베스트샵 강남본점에서 게임 환경에 적합한 2020년형 ‘LG 울트라기어’ 게이밍 모니터·고성능 노트북을 소개하고 있다./사진제공=LG전자


LG전자도 신제품을 내놓으며 맞불을 놓았다. 선두는 지난 3월 나온 신형 ‘LG 울트라기어’다. 시야각이 넓으면서도 빠른 응답속도를 자랑하는 이 제품은 1초에 240장의 화면을 구현하는 240Hz 고주사율도 지원해 빠른 움직임이 게임도 부드럽게 묘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LG전자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출시한 나노 IPS 패널을 적용한 게이밍 모니터로 게이머들에게 각인한 프리미엄 이미지를 심화한다는 계획이다. e스포츠 프로게임단 이블 지니어스와 통합 마케팅 파트너십도 맺어 브랜드 홍보에도 적극이다.

관련 업계는 게이머를 공략한 마케팅이 TV 패널로도 확대될 거라 보고 있다. LG전자는 최근 48형 OLED TV를 출시하며 게이밍 모니터로도 손색이 없다고 강조했으며 샤오미와 비지오 등도 OLED TV를 출시하며 각각 ‘게임모드 자동치환’, ‘프로게이밍 엔진’ 등 게이머를 공략한 기능에 방점을 찍었다. 업계 관계자는 “시장 대내외적 영향으로 게이머를 공략하는 마케팅이 게임 전용 모니터 패널 뿐 아니라 TV용에서도 부각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수민기자 noenem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