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 전문가인 손성원 로욜라메리마운트대 교수 겸 SS이코노믹스 대표가 새로 출범하는 조 바이든 정부의 성장률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때보다 떨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에 반등세를 보이고 있는 미국 경기가 재차 하강하는 ‘W자형’ 회복이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손 교수는 8일(현지시간) 대선 이후 미국 경제에 대한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바이든 당선인이 핵심인 상원을 장악하지 못하면 경제에서는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선거 결과 미 상원은 공화당과 민주당이 각각 48석씩 확보했다. 개표 중인 노스캐롤라이나와 알래스카는 공화당 후보의 당선이 유력하다. 조지아(2곳)는 모두 득표율이 과반을 달성하지 못해 내년 1월5일 결선투표를 해야 한다. 조지아의 경우 한 곳은 민주당 후보가 1위지만 다른 한 곳은 공화당 후보가 49.8%를 얻어 민주당 후보와 약 9만표나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공화당이 전체 100석 중 51석을 확보해 다수당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손 교수는 “바이든 당선인이 10년 동안 인프라 등에 7조5,000억달러를 쓰겠다고 했는데 공화당이 상원을 장악하면 이 같은 지출안이 상원에서 통과될 가능성이 없다”며 “앞으로 경제성장은 트럼프 정부 때처럼 뜨겁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백신이 나오더라도 실제로는 내년 하반기는 돼야 (상황 통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코로나19 재확산에 경기는 계속 나빠질 수밖에 없다. W자형 회복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2면으로 계속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1면에서 이어
“성장률 1.5~2% 수준 가능성…연준, 탄약 거의 다 떨어져”
바이든, 분배 중심 정책 추진
공화당 발목에 대규모 부양책 어려워
선거 불확실성 금융충격 없을 듯
인플레는 장기적으로 문제 될 것
손 교수는 바이든 정부의 경제정책이 분배 중심이고 여기다 대규모 부양책을 실행하지 못하게 되면서 경제성장률이 떨어질 것으로 봤다. 그는 “성장이냐 분배냐 두 요소를 조절해야 하는데 바이든은 배분을 중시한다. 이 경우 기본적으로 성장률은 낮아지게 돼 있다”며 “추가로 블루웨이브(바이든 당선+민주당 상원 장악)가 되면 재정지출을 많이 할 테니 향후 2~3년 동안은 성장률이 높을 것으로 내다봐 증시도 많이 올랐는데 현 상황에서는 그럴 가능성이 낮다”고 강조했다.
이를 고려하면 바이든 정부에서는 대략 연 1.5~2% 수준의 성장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게 손 교수의 예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지난 2017년 2.2%를 기록한 후 2018년 2.9%, 지난해 2.3%의 성장률을 보였다. 올해는 코로나19에 따른 록다운(폐쇄)이라는 특수요인으로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된다.
손 교수는 또 “돈 문제는 상원과 하원 모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며 “바이든 당선인은 경제가 아닌 외교와 이민정책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점쳤다.
그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추가 카드가 사실상 바닥났다고 봤다. 손 교수는 “연준은 탄약이 충분하다고 하지만 마이너스 금리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라서 내가 보기에는 탄약이 없다”며 “지금은 유동성이 없어 돈을 쓰지 못하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불복과 소송전이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할 것으로 봤다. 그는 “압도적은 아니지만 꽤 차이를 두고 바이든이 승리해 미국 국민들과 금융시장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인플레이션은 장기적으로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앞으로 2~3년은 경기가 좋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인플레가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서도 “장기적으로 빵이 하나인데 돈이 2배로 늘어나면 빵값이 2배가 된다. (이는) 결국 문제가 된다”고 설명했다.
논란이 되고 있는 미 정부 부채 급증에 대해서도 “단기적으로는 문제가 없지만 이 또한 장기적으로는 큰 부담”이라며 “일본의 사례를 들어 미국의 부채비율이 높아도 된다는 얘기가 있는데 일본은 저축률이 높아 미국과 상황이 다르다”고 밝혔다. 미국은 저축률이 낮아 일본이나 중국 같은 다른 나라가 미국 정부의 빚을 받아주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두 나라는 각각 1조달러 이상의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