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상장사의 회계 결산이 마무리된 가운데 코스닥시장에서 상장폐지 심사대에 오를 수 있는 잠재 위험군인 관리종목 수가 가파르게 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기업 간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중소형주를 중심으로 부실기업 역시 늘어나는 추세다. 하지만 높은 개인투자자 비중 등 코스닥의 특수성을 감안하면 퇴출 카드로 시장을 관리하기가 여의치 않아 시장 건전성 유지에 경고등이 켜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닥시장의 관리종목은 109개로 전체 코스닥 종목(1,495개)의 7.3%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4곳 중 1곳이 잠재적 퇴출 위험을 안은 셈이다. 코스닥의 관리종목은 최근 2년간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 2016~2018년(연말 기준) 관리종목은 40곳이 채 안 됐지만 2019년 83건으로 두 배 이상 급증했고 최근 15개월 사이에도 26개(31.3%) 종목이 증가했다. 2020년 사업연도 실적 발표 시즌인 지난달에도 자본잠식, 대규모 손실 등의 사유로 관리종목이 7개 순증했다. 한국거래소는 상폐 기준에 해당할 우려가 있는 기업을 관리종목으로 특별 지정해 투자자에게 위험을 환기하고 있다.
이미 코스닥의 7%가 넘는 기업이 ‘부실기업’ 꼬리표를 단 상황이지만 전문가들은 쫓겨날 위기에 처할 기업이 추가로 늘어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코로나19가 기업 간 양극화를 가속화시키며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여건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코스피·코스닥 상장사(금융사 제외)의 매출액 5분위 배율(상위 20%의 평균 매출액을 하위 20%의 매출액으로 나눈 값)은 2019년 267배에서 지난해 305배로 크게 벌어졌다. 김준석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업 간 양극화는 수년간 지속돼온 흐름으로 이 추세가 멈추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실적이 부진한 기업이 코스닥시장에 꾸준히 쌓일 위험이 있다”고 진단했다.
막상 거래소가 이들에 대한 구조 조정을 단행하기에는 현실적 걸림돌이 많아 시장 부실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진다. 지난해 코스닥시장에서 상폐된 종목은 13건(스팩, 자발적 상폐 제외)으로 전년(3건) 대비 크게 늘었지만 신규 관리종목 지정 건수(69건) 등 부실기업 증가 속도에 비하면 절대적으로 많은 규모는 아니다. 코스닥은 바이오 등 상대적으로 앞날을 내다보기 어려운 기업의 비중 높고 개인투자자의 분포가 압도적이라 거래소가 이들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기에도 제약이 많다는 설명이다.
한 금융 투자 업계 관계자는 “개인 주주가 수만 명에 달하면 거래소 입장에서도 굉장히 곤란해진다”며 “상폐 결정 과정에서 질적인 심사도 진행하는데 그 과정에서 여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어 시장 퇴출이 말처럼 쉬운 선택지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지난해 대법원의 사상 첫 상폐 번복 판결로 손해배상 소송에 휘말릴 소지도 생겨나면서 상폐 결정에 더욱 신중을 기하고 있다는 평가다. 다만 거래소 관계자는 “상폐는 영업의 지속성, 재무 건전성, 경영의 투명성을 심사하며 개인 주주 수가 상폐 여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주주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장의 진입·퇴출을 보다 수월하게 하기 위해 상폐된 주식이 매매될 수 있는 거래 플랫폼 조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상폐 기업의 주권이 휴지 조각으로 전락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가 ‘유동성 부족’인 만큼 이 같은 문제가 해결되면 지금 같은 가격 폭락을 일정 부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김 연구위원은 “파산하지 않은 상폐 기업의 주권은 유동성이 크게 떨어져 가치가 폭락한다”며 “K-OTC시장이 있기는 하지만 북미처럼 보다 활발하게 거래될 수 있는 채널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승배 기자 ba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