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기후위기의 심각성이 커지면서 ‘탄소중립’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고 있다. 이에 맞춰 정부의 에너지정책도 기존 화석연료 발전 중심의 전력공급체계를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하는 작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재생에너지 보급확대는 기존 전력설비 부하의 가중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에 앞서 송배전시스템의 확충이 필수적인 이유다.
한국전력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의 접속지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 송배전 전력설비의 재생에너지 접속용량을 확대하는 특별대책을 시행하고 나섰다. 한전은 그동안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송배전설비의 접속 가능용량이 부족할 경우 설비보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왔다. 2016년 10월부터 1㎿ 이하 소규모 신재생에너지발전사업자가 전력계통 접속을 요청하면 한전이 비용을 부담해 공용전력망을 보강하고 접속을 보장해주는 방식이었다. 덕분에 신재생에너지발전 사업자들의 참여가 늘어났지만 재생에너지 사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면서 전력계통설비의 연계용량 부족문제가 뒤따랐다.
이에 한전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운영하는 ‘재생에너지 계통접속 특별점검단’에 참여해 대책을 마련했다. 배전선로에 상시 존재하는 최소부하를 고려한 설비 운영 개념을 도입해 변전소나 배전선로 증설 없이 재생에너지 접속용량을 확대하는 방안이다. 재생에너지 발전 시 선로에 상시 존재하는 최소부하 용량만큼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상쇄되고, 잔여 발전량이 전력계통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상쇄된 발전량만큼 재생에너지의 추가접속을 가능케 하는 방식이다. 한전은 현장실증을 통해 최소부하가 1㎿를 초과하는 경우 배전선로별 재생에너지 접속허용용량을 기존 12㎿에서 13㎿로 확대했다. 또 재생에너지 장기 접속지연이 발생한 변전소에 대해서는 최소부하를 고려해 재생에너지 접속허용용량을 200㎿에서 평균 215㎿로 상향했다. 이 같은 개정안이 전기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면서 변전소 및 배전선로 보강 없이도 재생에너지 317㎿의 추가 접속이 가능해졌다.
한전은 그린본드 발행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그린본드는 신재생 발전사업 등 친환경 사업 투자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특수목적 채권이다. 한전은 지난달 3억 달러 규모의 5년 만기 그린본드를 발행하며 국내 처음으로 3년 연속 발행에 성공했다. 한전은 조달된 자금을 국내외 신재생 사업추진, 신재생에너지 계통연계, 친환경 운송수단 확충 등에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