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 (IoT)기술을 이용해 폐기물을 선별하는 중소기업인 ACI가 SK·현대차·롯데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들을 비롯해 사모펀드 등의 투자 및 사업 협력이 쇄도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ACI가 데이터와 로봇을 활용해 재생 플라스틱의 활용도를 크게 높이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강화와 관련 투자에 나서려는 기업의 러브콜이 쏟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재계에 따르면, 폐기물 수거 및 처리 솔루션 전문기업인 ACI가 현대차와 롯데케미칼, SK지오센트릭 및 SK에코플랜트, GS칼텍스, 쿠팡 등에서 잇따라 투자 및 협업 제안을 받고 있다. 이들 대기업이 매출 200억원 안팎의 ACI를 주목하는 이유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경험과 기술에 있어 ACI가 국내에서 단연 독보적이기 때문이다.
내년부터 국내 플라스틱 제조업체 등은 재생 원료 사용이 의무화돼 새 플라스틱보다 재생 플라스틱 가격이 최근 두 배 이상 오르는가 하면 안정적으로 폐플라스틱을 확보하는 일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 됐다. 현대차는 플라스틱이 사용되는 차체 일부에 재생 플라스틱을 써야하고 SK지오센트릭도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열분해유 공장을 짓기로 했다.
글로벌 환경 규제 트렌드에 밝은 사모펀드운용사인 VL인베스트먼트도 ACI의 가치를 일찌감치 파악해 지난해 10월 환경부의 모태펀드를 기반으로 조성한 펀드를 통해 ACI에 70억원을 투자하기도 했다.
ACI는 국내 한 석유화학 회사에서 코카콜라와 펩시, 에비앙 등에 플라스틱 원료 공급을 담당했던 김현수 대표가 2004년 설립했다. 김 대표는 자신이 팔았던 플라스틱이 쓰레기로 쏟아지는 현실에 폐기물의 수거 및 선별 처리를 활성화해 재활용률을 높인다면 회사도 성장하고, 사회적 가치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확신했다.
그는 계절 및 인구와 연령에 따라 일정하게 발생해 데이터화할 수 있는 생활 폐기물에 집중했다. ACI는 지난 18년간 전국 지방자치단체 60여 곳에 폐기물의 수거 및 선별 처리 솔루션을 제공했는데 김 대표는 “폐기물의 데이터화가 필요한 이유는 수거 되지 않고 방치되는 상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빅데이터로 폐플라스틱 등의 수거율을 크게 높인 김 대표는 수익성 확대를 위해 수거 후 되팔 수 있는 선별 작업의 노하우도 선진화했다. 그는 빛으로 폐기물을 스캐닝해 혼합 플라스틱을 투명PET, 색상PET, PP, PE, PS 등 5가지로 분류했다. 또 딥러닝기반 AI 로봇이 폐기물의 형상을 학습해 분류 작업을 자동화했는데 로봇이 라벨에 붙은 코드나 색깔, 상표도 읽어낼 수 있어 재질이나 색상 뿐 아니라 특정 브랜드의 페트병 등도 골라낼 수 있다.
김 대표는 “서울시 기준으로 하루 1500톤의 재활용 폐기물이 나오는데 25개 자치구별로 나눠 처리하게 한 법령 때문에 구청별로 하루 50톤 수준의 작은 선별장만 지을 수 있다”면서 “통합해 처리 용량을 늘리면 채산성이 높아지고 플라스틱을 더 세부적으로 골라낼 수 있어 재활용률과 부가가치가 높아 질 것" 이라고 조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