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글만 썼는데 1만4000원 벌었다…요즘 뜨는 '짠테크' [코주부]

[티끌모아 먼지라도]토스 만보기·캐시워크·네이버 포인트 비교

/KBS 캡처




월급 빼고 다 오르는 잔혹한 시대! 티끌이라도 모아 커피라도 사 먹자는 취지로 종종 여러분을 찾아뵙고 있는 코주부의 숨겨진 코너 <티끌 모아 먼지라도>입니다. 지난 한 달 간 코주부 에디터들은 비밀리에 수익 활동을 펼쳐왔는데요. 바로 ‘앱테크’입니다. 하루 만보 걷기, 구매 리뷰 작성 등 미션을 성공하면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주는 어플들 요새 꽤 많죠?

이번에 에디터들이 체험해 본 어플은 토스 만보기, 캐시워크, 네이버 포인트(어플은 아니지만, 적극적인 리뷰 활동으로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어 끼워넣어 보았습니다) 이렇게 세 가지 서비스인데요. 과연 누가 누가 더 많이 벌었는지 지금부터 확인해보시죠.

하루 최대치가 140원…물론 땅 판다고 나오는 건 아닙니다만


/그래픽=박희민 디자이너


우선 비슷한 방식의 토스 만보기와 캐시워크부터 비교해볼게요. 토스 만보기를 통해 하루 적립할 수 있는 최대치는 140원. 막상 해보니 정말 채우기 쉽지 않았다는데요. 특히 20원이나 한 번에 적립해주는 ‘특정 스팟(편의점·올리브영 등) 방문’의 경우 깊은 골목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또한 반드시 토스 만보기를 켠 채로 스팟을 방문해야 한다는 점도 불편했다고 합니다. 날씨도 도와주지 않았습니다. 폭염에 폭포 같은 폭우에… 한 달 동안 1만 걸음 리워드는 한 번도 못 받았다고. 그래서 한 달 동안 에디터가 번 돈은… 430원! 담당 에디터는 토스 만보기보다 연 1억원까지 하루만 넣어둬도 금리 2%를 주는 토스 뱅크의 파킹통장을 추천했습니다. 한 달 간 30만원을 넣어두면 세후 이자가 423원이니… 실로 그러하네요.

걸으면 포인트를 주는 어플계의 조상님 캐시워크는 어떨까요. 캐시워크는 100걸음당 1캐시를 주는데요. 이것도 그냥 주는 건 아닙니다. 100걸음이 누적될 때마다 화면에 보이는 보물상자를 눌러줘야만 적립 완료! 안그럼 사라지고 맙니다. 캐시워크를 담당한 에디터는 토스 만보기에 비해 상당히 준수한 결과물을 내놨습니다. 한 달간 총 1206캐시를 모은 것! 다만 감안할 점은 1캐시가 곧 1원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참고로 4500원짜리 스타벅스 아메리카노를 구매하려면 6300캐시가 필요합니다. 또한 캐시는 캐시워크 내부 쇼핑몰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쇼핑 리뷰로 1만4000원 적립? 쇼핑한 돈은 얼마냐 물으신다면…


사실 네이버 포인트는 네이버 페이로 제품을 구매해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토스 만보기나 캐시워크와는 조금 결이 다릅니다. 하지만 기왕 쓸 돈(?) 포인트라도 받으면 좀 기분이 낫지 않을까요?

네이버 포인트를 모으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네이버 페이로 물건을 사고 리뷰를 작성하는 것, 식당 등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한 후 영수증을 찍어 리뷰를 올리는 것입니다. 처음엔 영수증 리뷰도 하려고 했지만 요새 영수증을 잘 안 챙기다 보니 쉽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구매한 물건의 ‘리뷰 작성’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한 달 간 네이버 페이 결제와 리뷰 작성 등으로 발생한 적립은 64건, 총 적립 금액은 1만4802원입니다. 대체 돈을 얼마나 쓰고 적립받은 거냐고요? 비밀입니다... 건별로 좀 소개해드리면 적립된 것 중 가장 적은 포인트는 36원, 가장 높은 금액은 2000원이었습니다. 보통 사진을 첨부해 짧은 리뷰를 올리면 150원을 적립 받습니다. 텍스트 리뷰만 남길 경우 50원이니 기왕이면 사진을 꼭 붙이시길. 또 구매 한 달 후 사용기를 리뷰하라는 알림도 오는데요. 한달 리뷰는 포인트를 주는 곳도 있고 안주는 곳도 있으니 꼭 확인한 뒤 참여하세요.

총평 : 리워드보다는 다른 순기능을 찾아보자


사실 이러니 저러니 해도 큰 금액은 아닙니다만 나름의 순기능이 있었습니다. 일단 저는 이번 콘텐츠를 만들면서 많은 반성을 했습니다. 지금까지 걸은 걸음 수가 몇 걸음이고 네이버에서 산 물건이 몇 갠데 리뷰 한 번 작성해 본 적 없는 나란 인간! 체험을 시작하고 나서는 어느새 만원 넘게 쌓여버린 포인트를 보며 제가 얼마나 많은 것을 사들이고 있는지 처절히 깨닫게 됐습니다.

토스 만보기를 체험한 다른 에디터는 만보기로 돈을 벌긴 힘들 것 같지만, 자신이 하루에 얼마나 걷는지 알게 됐다며 너무 걸음 수가 적은 날엔 조금 더 걸으려고 노력한다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셨고요. 가장 주목해야 할 후기는 캐시워크를 사용한 에디터입니다. 숨은 앱테크 고수인 그는 “토스 만보기와 캐시워크 둘 중 뭐가 더 좋은가”라는 질문에 “그게 뭐가 중요한가, 어차피 걸을 거 앱을 두개 다 깔면 될 거 아닌가”라는 명언을 남겼습니다. 에디터들의 현실적인 앱테크 후기, 어떠셨나요? 독자님이 알고 계신 앱테크, 짠테크 꿀팁이 있다면 에디터들에게도 좀 나눠주세요…!

코주부 뉴스레터 구독하기




이 기사는 서울경제의 재테크 뉴스레터 ‘코주부’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코인, 주식, 부동산까지 요즘 가장 핫한 재테크 소식을 알기 쉽게 풀어드리는 코주부 레터. 아래 링크에서 구독신청하시면 이메일로 매주 월, 목요일 아침 8시에 보내드립니다.(무료!)

구독 링크와 아카이브 →https://url.kr/kojubu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