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완화와 규제지역 해제 등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대책에도 내년도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반면 전세가격은 월세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고 매매수요 감소로 인한 반등효과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2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서울 강남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2023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를 개최하고 내년 부동산시장에 대해 “전국 매매가격은 2.5% 하락하는 반면 전세는 0.5%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김성환 부연구위원은 “절대적 주택 가격 수준이 높은 데다 높은 금리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가격에 하방압력을 미칠 것”이라며 “지난달 28일 발표된 주택 관련 규제 완화로 1주택자가 잠재 수요로 포섭됐지만 시장을 부양할 수 있을 정도의 규모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지방, 전국이 각각 2.0%, 3.0%, 2.5% 내릴 것으로 전망됐으며 상반기에 하락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전세가격 매매수요의 감소로 인한 반등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김 부연구위원은 “임대차 전반의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임대인들이 월세가격을 가파르게 인상하며 전세가 하락세는 1년 만에 마감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주택경기가 변곡점에 있는 만큼 시장참여자들에게는 신중한 접근을 강조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정부의 각종 규제 덕택에 주택시장 참여자들의 재무 건전성은 양호한 상태”라면서도 “공급자 금융의 어려움이 심화된 만큼 기업들은 프로젝트 수익성 평가를 과거보다 보수적으로 진행하고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부에 대해서는 “민간의 수익성 저하는 계획된 주택 공급량을 달성하는 데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7.5% 감소한 206.8조원을 기록해 3년래 가장 낮을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박철한 연구위원은 “내년도 정부 SOC 예산이 10% 이상 감소한 데 더해 기준금리 급등, 국내외 정세 악화 등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2019년부터 4년간 지속된 증가세를 마감할 것”이라고 말했다. 발주 부문별로 공공 수주 3.1% 감소, 민간 수주도 9.0% 감소해 부진할 전망이다. 공종별로 살펴보면 토목과 주택 수주가 각각 3.8%, 6.3% 감소, 비주택건축 수주는 11.5% 감소가 예상된다.
건설투자도 전년 대비 0.1%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박 연구위원은 “PF 시장 대출 연장 거부는 전형적인 유동성 위기로 대출이 막혀 공사 자금 확보가 어려운 건설사가 증가하고 연대보증으로 인한 부도 위험 또한 커지고 있다”며 “내년 상반기에는 물가 상승압력을 자극하지 않도록 소규모 공사 위주로 발주를 늘리고 하반기에는 2023년으로 연기된 대형사업 착공을 앞당겨 하반기 경기부양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