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한중수교 이후 처음으로 2분기 연속 대(對)중국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이같은 적자가 일시적 현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6일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간한 ‘최근 대중국 무역적자 요인 분석 및 향후 전망’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은 감소하고 수입은 꾸준히 늘면서 올해 2분기와 3분기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무역협회는 이같은 적자의 배경을 구조적 요인과 경기적 요인으로 나눠 분석했다.구조적인 요인으로는 중국이 국산화율을 높이고 생산기지로서의 역할이 줄어들면서 내수용(내수용 중간재 및 최종재) 수입과 제3국 수출용 중간재 수입이 모두 둔화됐다는 설명이다. 특히 중간재의 경우 한국의 대중국 수출에서 79.8%를 차지했는데, 중국의 중간재 수입수요가 줄어들면서 영향을 받았다.
경기적 요인으로는 코로나19 이후 경기 침체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중국 수입물가 급등이 지목됐다. 반도체와 정밀화학연료, 산업용 전기기기 등 주요 수입품목의 단가가 오른 점도 이유 중 하나다.
강내영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현재 대중국 무역수지 적자 현상은 경기적 요인의 영향력이 더 크다”며 “중국의 실물경기 회복 및 인플레이션 해소, 우크라이나 사태 종식에 따라 원자재가 및 교역단가 안정화가 이뤄진다면 대중국 무역수지도 흑자로 전환될 것”이라 설명했다.
이어 “무역수지 흑자 전환을 위해서는 중국의 내수용 중간재 및 최종재 수입 증가 추세에 따른 중국 내수시장 공략과 기술혁신을 통한 고위기술 중간재의 고부가가치화, 핵심소재 및 부품 등 고위기술 품목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이 필요하다”며 “다만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중국 내수 영향력이 금융위기 이후 축소되고 있어 향후 중국경기가 회복되어도 대중국 수출이 과거와 같이 급격하게 확대되면서 흑자 폭을 빠르게 넓히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